관세협상 안 서두르는 캐나다…속내는 ‘버틸수록 이득’?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7월 30일 16시 55분


코멘트

캐나다 “올바른 거래만 서명”…트럼프 35% 위협에도 꿋꿋
인도도 양보 않고 버텨…브라질은 내정개입 몸살 수습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 시간) 텍사스주 커빌의 비상운영센터에서 부인 멜라니아 여사, 그레그 애벗 텍사스 주지사와 함께 홍수 관련 간담회를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 행정부가 텍사스를 돕기 위해 권한 내 모든 일을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2025.07.12 [커빌=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 시간) 텍사스주 커빌의 비상운영센터에서 부인 멜라니아 여사, 그레그 애벗 텍사스 주지사와 함께 홍수 관련 간담회를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 행정부가 텍사스를 돕기 위해 권한 내 모든 일을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2025.07.12 [커빌=AP/뉴시스]
“미국과의 관세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 주요국들이 8월 1일까지 합의를 이루기 위해 맹렬히 협상하고 있다. 이건 시간과의 전쟁이다.”(미 뉴욕타임스·NYT)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 관세 유예가 다음 달 1일 종료되는 가운데 한국처럼 아직 미국과 무역합의를 이루지 못한 국가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마지막 협상에 임하고 있다고 NYT가 29일 전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 합의하지 못한 나라들에 15~20%의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의 가까운 이웃이자 핵심 교역국 중 하나인 캐나다는 협상 타결을 위해 서두르지 않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시간에 쫓겨 불리한 조건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것.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에게 서한을 보내 미국의 요구에 부응하지 않으면 캐나다에 3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했다. 지난해 기준 미국으로 수출한 캐나다 물품의 규모가 4127억 달러에 달해 고율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캐나다의 경제적 타격은 클 수밖에 없다.

하지만 카니 총리는 “우리는 캐나다에 좋은, 올바른 거래에만 서명할 것”이라며 “캐나다 국민의 최대 이익이 되는 조건에만 동의할 것”이라고 못박았다. NYT는 “이는 캐나다가 빈손으로 협상을 마칠 수도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의 무역협상에 대한 질문을 받고 “캐나다와는 별로 운이 따르지 않았다. 캐나다는 관세만 부과될 뿐 실질적인 협상은 이뤄지지 않는 나라가 될 수도 있다”고 했다.

최근 몇 달째 ‘타결 임박설’이 나왔던 인도 역시 속도보다 내실을 따지는 모양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30일 트루스소셜을 통해 인도의 높은 관세와 무역 장벽 등을 지적하며 “인도는 8월부터 25%의 관세를 내고, 패널티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인도가 러시아로부터 무기와 에너지도 대거 구매했다고 지적했다. 이를 두고, 올 2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미국을 전격 방문하는 등 우호적 분위기를 만들었지만, 무역협상 타결에 필요한 결정적 양보는 하지 않았다는 해석이 나온다.

세계 최대 커피 수출국인 브라질과 미국의 최대 수입국인 멕시코도 29일 현재까지 미국과 무역협상을 체결하지 않았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브라질에 대해 국내 정치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50%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혀 논란이 됐다. 이에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의 황제가 되기 위해 선출된 것이 아니다”라고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다.

그럼에도 미국과 브라질이 서로에게 필요한 핵심 품목에 대해선 합의점을 찾아가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이날 미 정치전문매체 더힐은 “브라질의 무역협상을 지휘하는 제랄두 알크밍 부통령이 28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통화했다”며 “러트닉 장관은 커피처럼 미국에 필요한 일부 천연 수입품에 대해서는 관세 면제 가능성을 시사해 브라질에 희소식을 안겼다”고 전했다.

#미국#관세#무역협상#트럼프#관세유예#무역합의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