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2라운드] 美무역적자 줄면 관세 인하 시사
구체적 시점엔 “예측하기 힘들어”
“10월까지 관세협상 대부분 마무리”
中과 협상엔 “매우 어려운 문제”
미국과 주요 교역국의 무역 협상을 관장하고 있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사진)이 11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인터뷰에서 “미국으로 생산 거점이 돌아오면 (미국의) 수입량이 줄어 국제 (무역) 불균형이 시정될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관세는 ‘각얼음’처럼 녹아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각국과 체결한 관세 협정을 통해 미국의 무역적자가 대폭 줄어들면 자연스럽게 관세 또한 낮춰 줄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다만 베선트 장관은 구체적인 관세 인하 시점에 대해선 “예측하기 힘들다”고 했다. 상당한 규모의 무역적자가 해소되어야 관세 인하가 가능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관세 정책의 목적은 국제 수지의 균형을 회복하는 데 있다”고 강조했다. 또 “해외 자본을 더 많이 유치하기 위해 규제 완화와 감세를 실시할 예정”이라며 각국 기업의 미국 투자 확대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그는 아직 무역 협정을 체결하지 못한 국가들과의 협상은 올 10월 말까지 대부분 마무리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아직까지 무역 합의를 맺지 못한 국가들에도 협상의 문은 일단 열어놓겠다는 뜻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이를 감안할 때 중국, 인도, 캐나다, 멕시코 등 아직까지 협상을 타결하지 못한 주요 교역국을 상대로 반드시 10월 말까지는 합의하라는 신호를 보낸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특히 베선트 장관은 관세 협상의 가장 큰 초점은 중국과의 협상이라고 밝혔다. 그는 “비(非)시장경제라는, 우리와 다른 목표를 가진 국가(중국)와 매우 어려운 문제를 다루고 있다”며 타결이 쉽지 않다는 점을 토로했다. 다만 미중은 지난달 28∼29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3차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을 통해 12일 종료되는 양국 간 ‘관세 휴전’을 연장하는 데 잠정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세 휴전 연장에 대한 공식 발표는 없었지만 베선트 장관이 “10월 말까지 합의”를 언급한 것을 두고 관세 유예 연장을 시사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베선트 장관은 일본산 수입차에 대한 자동차 관세를 15%로 인하하는 시점에 대해선 “영국의 경우 관세 인하 (결정)부터 실행까지 50일가량 걸렸다”면서 “50일보다 짧을 수 있고 길 수도 있지만, 영국 사례는 하나의 기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일본은 지난달 22일 미국과 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여기에 50일을 적용하면 다음 달 10일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