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달 30일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열린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 때 엔비디아의 최신 인공지능(AI) 반도체 ‘블랙웰’ 수출을 거론하지 않은 건 참모들의 요청 때문이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일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가까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미중 정상회담 직전까지 대통령에게 블랙웰의 중국 수출을 허용해 달라고 설득했지만, 첨단기술 유출을 우려한 참모들이 이를 막았다는 것이다.
이날 WSJ에 따르면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 트럼프 행정부 핵심 관계자들은 블랙웰의 대중 수출이 중국의 AI 역량을 강화해 미국 안보를 약화시킬 거라며 일제히 반대했다. WSJ은 “트럼프 대통령과 자주 소통하는 황 CEO는 중국 시장 접근을 위해 끊임없이 로비해왔다”며 “트럼프 대통령도 젠슨황의 요청을 (중국과) 논의하고 싶어했다”고 전했다.
미국은 자국 안보에 악영향 줄 것을 우려해 AI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고 있다. 블랙웰 B200 그래픽처리장치(GPU)는 이전 세대인 H100 기반보다 AI 학습에서 3배, 추론 모델 가동에서 약 15배 강력한 성능을 갖고 있다. 엔비디아는 성능을 낮춘 블랙웰 수정 버전을 중국에 판매하겠다고 트럼프 행정부를 설득하고 있다.
엔비디아 최신 반도체인 블랙웰의 중국 수출은 약 수조 원의 매출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엔비디아는 중국 AI 기업 생태계가 엔비디아 반도체에 계속 의존하게 만들려면 대중 수출이 허용돼야한다는 입장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미중 정상회담에서 블랙웰 수출을 논의하지 않은 데 대해 엔비디아 수장보다 트럼프 핵심 참모들의 입김이 더 강하게 작용한 거라고 WSJ은 해석했다.
미중 정상회담 직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엔비디아 행사에서 황 CEO는 “중국에 세계 AI 연구자의 절반 가량이 있다”며 중국 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미국이 중국 시장을 영구적으로 포기할까봐 우려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내년 4월로 예정된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앞두고 황 CEO의 블랙웰 중국 판매 시도가 계속될 수 것으로 WSJ은 예상했다.
일각에선 트럼프 행정부가 블랙웰 등 최첨단 AI 반도체를 내수용으로만 쓰도록 규제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 방영된 미 CBS방송 시사프로그램 ‘60분’과의 인터뷰에ㅅ서 ‘엔비디아가 중국에 최첨단 반도체를 판매하도록 허용할 거냐’는 질문에 “아니다. 우리는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또 “최첨단 반도체는 미국 말고는 누구도 갖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