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토국 전투기 참여… 공항 4곳 폐쇄
“러 드론 6~10대, 정황상 고의 침범”
러, 우크라 동부에도 활공폭탄 공격
연금 받으려 줄선 노인 등 24명 숨져
격추된 러 드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인 폴란드의 영공을 침범했다 격추된 러시아 무인기(드론). 사진 출처 폴란드 레푸블리카TV ‘X’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인 동유럽 폴란드가 9일 밤∼10일 새벽 영공을 침범한 러시아 무인기(드론)를 격추했다고 밝혔다.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뒤 확전을 우려해 러시아와의 대립을 자제했던 폴란드가 이례적으로 군사 행동에 나선 것이다.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러시아 드론이 폴란드 영공을 침범한 건 처음이 아니다. 하지만 폴란드가 직접 대응에 나선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영국 BBC 등이 전했다.
폴란드는 우크라이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조력자 역할을 하고 있는 벨라루스와 모두 국경을 맞대고 있다. 제정 러시아와 소련으로부터 각각 침략을 당한 역사가 있어 러시아에 대한 반감 또한 깊다.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 협상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러시아가 폴란드 국경지대인 우크라이나 서부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고, 나토 회원국인 폴란드와도 직접 충돌하면서 확전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 투스크 “나토 조약 4조 발동 요청”
도날트 투스크 폴란드 총리는 10일 기자회견을 갖고 “9일 오후 11시 30분부터 오늘 오전 6시 30분경 러시아 드론이 총 19번 영공을 침범했다. 대부분의 드론이 벨라루스 쪽에서 침범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이 중 최소 4대의 드론을 격추했다고 밝혔다. 이 여파로 수도 바르샤바 국제공항 등을 포함한 4개 공항이 일시 폐쇄됐다.
투스크 총리는 나토에 ‘조약 4조’의 발동을 요청했다. 4조는 영토 보전, 안보 등이 위협받은 동맹국이 다른 회원국과 이를 협의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는 “나토 동맹국이 러시아의 대규모 도발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며 “(유럽에서의) 대규모 군사 충돌 가능성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어느 때보다 가까워졌다”고 우려했다. 1949년 나토 창립 후 조약 4조가 발동된 것은 7차례뿐이다.
나토 관계자 또한 로이터통신에 “러시아 드론 6∼10대가 폴란드 영공에 침범했다. 초기 정황상 ‘고의적 침범’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폴란드가 보유한 미국제 F-16 전투기 외에 네덜란드의 F-35 전투기, 이탈리아의 공중조기경보통제기(AWACS), 나토에 의해 공동 운용되는 공중 급유기가 이번 드론 대응 작전에 참여했다고 설명했다.
짐 타운센드 전 미국 국방부 부차관보는 BBC에 “드론 한 대의 침입은 실수일 수 있지만, 여러 대는 실수가 아니다”라며 고의 침범설에 동조했다. 딕 더빈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 조 윌슨 공화당 하원의원 등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를 주문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 등은 “폴란드와 전적으로 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맞서기 위한 유럽 차원의 연대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번 사태가 나토의 ‘조약 5조’ 발동으로 이어질지도 관심이다. 5조는 “특정 회원국이 공격받으면 회원국 전체가 공격받은 것으로 간주해 대응한다”는 집단방위 체제를 명시하고 있다. 우크라이나가 나토 가입을 강하게 원하는 이유, 러시아가 이를 반대하는 것 또한 ‘조약 5조’와 깊은 관련이 있다.
● 우크라 노인, 연금 받으려다 러 활공 폭탄에 숨져
러, 우크라 동부선 민간인 표적 공습
9일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 슬로우얀스크에서 러시아군의 공습을 받은 86세 여성 올라 트루시 씨가 응급차에 이송되고 있다. 이날 슬로우얀스크 인근 야로바 마을에서 트루시 씨를 포함한 우크라이나 노인 수십 명이 러시아의 활공 폭탄 공격을 받고 숨지거나 부상당했다. 슬로우얀스크=AP 뉴시스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서부뿐 아니라 이번 전쟁의 최대 격전지인 우크라이나 동부에서도 파상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군이 9일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야로바 마을을 표적 공습해 최소 24명이 숨지고 19명이 다쳤다. 사망자 24명 중 23명은 우체국을 통해 지급되는 연금을 받으려고 우체국 앞에서 줄을 서서 기다리던 노인들이었다. 바딤 필라시킨 도네츠크 주지사는 “이건 전쟁이 아니라 순전히 테러”라고 비난했다.
야로바는 최전선에서 약 8km 떨어져 있다. 우크라이나는 전쟁 초기 이곳을 러시아에 빼앗겼다가 탈환했다. 전쟁 발발 후 도네츠크주의 80∼90%를 점령 중인 러시아는 도네츠크주는 물론이고 루한스크, 헤르손, 자포리자주 등 4개 주 전체를 영토에 편입하겠다는 입장이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가 이번 공격에서 ‘활공 폭탄(glide bomb)’을 사용해 민간인을 의도적으로 공격했다고 비판했다. 이 폭탄은 기존 폭탄보다 더 수평적으로 비행한다. 표적 바로 위가 아닌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발사할 수 있어 성공적인 공격이 가능하고 요격 또한 어렵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