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일(현지 시간) 러시아 남부 휴양지 소치에서 열린 발다이 국제토론클럽 본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AP=뉴시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에 협상에 임할 것을 촉구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올해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3차례에 걸쳐 협상을 진행한 바 있다. 하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한채 대화를 중단한 상태다.
러시아 타스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 남부 휴양지 소치에서 열린 발다이 국제토론클럽 본회의에서 “나는 (협상이 필요하다는) 이해가 언젠가 키이우 정권(우크라이나) 지도자들의 마음에 찾아오기를 희망한다. 그리고 그들이 협상 테이블에 앉을 힘을 찾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우크라이나가 전쟁에서 열세에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특히 우크라이나에 비해 훨씬 적은 규모로 발생한 손실을 강조했다. 또 우크라이나가 징병 연령을 낮춰도 병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푸틴 대통령은 전쟁 장기화의 원인을 유럽으로 돌리기도 했다. 그는 “안타깝게도 지금까지는 싸움을 멈출 수 없었다. 이에 대한 책임은 갈등을 계속 키우려고 하는 유럽에 있다. 오늘날 그들에게 다른 목표는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북한을 비롯해 러시아의 우방이라고 생각하는 국가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그는 중국, 인도,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브릭스(BRICS) 창설 국가들, 벨라루스와 북한,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이란 등 아랍·이슬람 국가 등이 전쟁 해결을 위해 진심 어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푸틴 대통령은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해서는 호의적인 발언을 해 주목 받았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조기 집권했더라면 위기를 피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말에 동의했다. 또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가자지구 평화 구상에 대해서도 “터널 끝에 빛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며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