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3일 (현지 시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뉴클리어 파워’(Nuclear Power·핵능력 보유국)로 지칭하며 북미대화 재개 의지를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 회담에 앞서 김 위원장과 관계를 1기 때처럼 다시 구축할 것이냐는 취재진 질문에 “그렇게 할 것이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김정은과 대단한 관계를 맺은 바 있다. 만약 그때 내가 당선되지 않고 힐러리(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당선됐다면 북한과의 핵전쟁이 일어났을 것”이라며 “그(김 위원장)가 그렇게 예상했다. 수백만명이 죽었을 것이라고 그들(북한)은 말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러나 내가 당선됐고 우리는 싱가포르, 베트남에서 만났다. 정말로 잘 지냈고, 좋은 관계를 맺었으며 여전히 그렇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나는 김정은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며 “무슨 일이 일어날지 지켜볼 것이다. 그가 ‘뉴클리어 파워’인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20일 취임식 직후 집무실에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도 북한을 핵능력 보유국이라고 부른 바 있다. 국제 사회는 외교·군사적인 이유로 인해 북한을 핵능력 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외교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정확한 개념을 인지하지 않은 채 얘기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북한을 핵능력 보유국으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북한이 핵 능력을 지녔다는 현실을 인지하는 수준이란게 외교가의 일반적인 분석이다. 완전한 북한 비핵화를 추진하겠다는 미국의 기존 입장은 트럼프 행정부에서도 일단 계승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미국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북한과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당시 북미 협상을 주요 업적 중 하나로 간주한다. 이날 역시 이러한 인식을 재확인했는데, 그는 2018년 싱가포르에서 열린 1차 북미정상회담 당시를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처음에는 거칠게 시작했던 것을 기억할 것이다. 그러다가 그들이 회담을 요청했고, 우리는 만났다”며 “그 회담은 한국에서 성공적으로 열린 (평창동계) 올림픽 때문에 이뤄졌는데, (그 전에는) 사람들은 핵공격을 당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아무도 표를 사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 회담으로) 한국 올림픽은 성공적으로 치러졌을 뿐만 아니라 북한도 올림픽에 참가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이룬 대단한 성과였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