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국제
G7 외교장관 “러, 휴전 합의해야…北 핵미사일 포기 촉구”
뉴시스(신문)
업데이트
2025-03-15 03:05
2025년 3월 15일 03시 05분
입력
2025-03-15 01:39
2025년 3월 15일 01시 39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코멘트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휴전 합의 불발 시 추가 제재 등 방안 논의”
“北 러시아 지원 규탄…가상화폐 탈취 우려”
가자 휴전 지지…‘두 국가 해법’은 언급 안 해
AP 뉴시스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들이 러시아에 우크라이나와 휴전안에 합의하라고 촉구했다.
북한의 러시아 전쟁 지원을 규탄하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모든 핵·미사일 무기를 포기하라고 목소리 냈다.
G7 외교장관들은 14일(현지 시간) 캐나다 퀘벡 샤를부아에서 열린 외교장관회의 후 성명을 발표해 “우크라이나 영토 보전과 생존권, 자유, 주권, 독립을 수호하기 위한 변함없는 지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지난 11일 미국과 우크라이나의 고위급 회담을 환영하며 “우크라이나의 즉각적인 휴전에 대한 약속에 박수를 보낸다”고 명시했다. 양측은 회담에서 종전을 위해 우선 30일 휴전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G7은 러시아에 “동등한 조건에서 휴전에 합의하고 이를 완전히 이행하라”고 촉구했다. 휴전이 합의되지 않으면 추가 제재, 유가 상한, 우크라이나 추가 지원 및 기타 수단을 통한 러시아에 추가 비용 부과 방안을 논의했다고 압박했다.
성명은 “어떠한 휴전도 존중돼야 한다”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새로운 침략 행위를 억제하고 방어할 수 있는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는 안보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7월 10~11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리는 우크라이나 재건 회의를 포함해 조기 회복과 재건을 촉진하기 위한 경제·인도주의적 지원도 계속 조율하겠다고 했다.
북한 등 러시아 지원 국가에 대한 규탄도 성명에 명시됐다.
G7 외교장관은 “북한과 이란이 러시아에 군사 지원을 제공하고, 러시아 전쟁과 군대 재건의 결정적 조력자인 중국이 무기와 이중용도 부품을 제공한 것을 규탄한다”고 했다.
북한에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라 모든 핵무기, 기타 대량살상무기,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할 것도 요구했다.
북한의 가상화폐 탈취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며 공동 대응 필요성을 표명했다. 북한에 납치 문제를 즉각 해결하라고도 촉구했다.
동중국해와 남중국해 상황을 “심각하게 우려한다”며 “무력과 강압을 통한 일방적인 현상 변경 시도에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대만해협에서 평화와 안정 유지가 중요하다며, 양안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장려하고 대만이 적절한 국제기구에 의미 있게 참여하는 걸 지지한다고 표명했다.
중국의 군사력 증강과 핵무기 증가를 우려하며 “중국의 유해한 과잉 생산과 시장 왜곡을 초래하는 비시장적 정책과 관행에 우려를 표명한다”고도 했다.
가자지구 관련 하마스에 인질 석방을 촉구하면서, 가자지구에 대한 인도적 지원 재개와 영구 휴전에 대한 지지도 재확인했다.
국제사회가 인정하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 해결 방안인 ‘두 국가 해법’ 지지 여부는 밝히지 않았다.
G7은 미국, 일본, 영국,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로 구성돼 있다. G7 외교장관회의는 12~14일 캐나다 퀘벡주 샤를부아에서 열렸다.
[서울=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전공의 복귀 임박… 수련병원 “초과 정원 수용땐 비용부담 걱정”
“美에 반도체 공장 지으면 관세 없다”… 삼성-SK 면제 가능성
[횡설수설/김재영]법망 피해 고가 아파트 쓸어 담은 ‘검은 머리 외국인’들
창 닫기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