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한의 한 고깃집은 “오늘부터 우리 가게는 미국 국적의 손님에게 추가 서비스 비용 104%를 더 받는다. 이해가 안 되는 게 있다면 미국대사관에 가서 문의하라”는 안내문을 내걸었다. (사진=더우인) ⓒ뉴시스
미국과 중국이 서로에 대한 관세를 계속 올리며 ‘관세 전쟁’을 벌이는 가운데, 중국 내에서 반미(反美) 감정과 애국주의가 확산하고 있다.
11일(현지 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최근 중국에서 많은 자영업자가 미국인 손님을 차별하는 내용의 안내문을 게시했다.
중국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더우인’ 등에 올라온 사진을 보면 중국 우한의 한 고깃집은 “미국 국적 손님에게는 추가 서비스 비용 104%를 더 받는다. 이 조치가 이해가 안 된다면 미국대사관에 가서 문의하라”고 적힌 안내문을 내걸었다. 104%라는 수치는 해당 사진이 찍혔을 당시 미국이 중국에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관세율로 보인다.
이 외 술집, 당구장, 주얼리 숍 등에도 비슷한 안내문이 붙었다고 SCMP는 전했다.
일부 자영업자는 미국산 수입품을 자발적으로 판매하지 않는 방식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한 휴대전화 판매업자는 “매일 같이 관세를 올려대니 이제 미국산 휴대전화는 팔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 신발 제조업자는 앞으로 미국 사업 파트너들과 거래하지 않겠다며 “손해를 보더라도 (미국에) 물건을 수출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사업에서 돈을 버는 것보다 중요한 건 애국심”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누리꾼들은 이 같은 대응에 엇갈린 반응을 보인다고 SCMP는 분석했다. 일부는 “애국적이다” “멋있다”고 칭찬했다. 반면 “사업 홍보를 위한 기회주의적인 행동이다” “이런 식의 대응에 반대한다” “오히려 할인을 통해 미국인의 방문을 유도한 뒤 중국산을 많이 사게 해야 한다” 등 비판도 나왔다.
앞서 9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세계 각국에 부과한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했지만, 보복관세로 맞선 중국에 대해선 상호관세율을 더 높여 145%의 ‘관세 폭탄’을 부과했다. 이에 중국도 곧장 미국산 수입품의 관세를 기존 84%에서 125%로 올려 맞대응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