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일본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기존 24%에서 30%나 35%까지 올릴 수 있다고 1일(현지시간) 밝혔다. 그는 또 상호관세 유예 연장 조치를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거듭 밝혔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날 플로리다주를 방문한 트럼프 대통령은 워싱턴DC로 돌아오는 전용기 기내에서 “우리는 일본 일본과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지 확신을 못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산 수입품에 ”30%나 35% 또는 우리가 결정하는 어떤 수치“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4월 발표한 24%의 관세율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일 일본에 대해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간 양국은 관세협상을 진행해왔으나, 아직까지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일본에 서한을 보내겠다고 밝힌데 이어, 이날도 일본을 겨냥해 “회의적이다. 그들은 매우 강경하고 버릇이 없다(tough and spoiled)”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저는 일본을 사랑하고, 그들의 신임 총리도 좋아한다. 아베(신조)는 가장 가까운 친구 중 하나였다”면서도 “그들은 다른 이들과 함께 30~40년동안 우리를 착취하면서 매우 버릇이 없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이 쌀이 필요함에도 미국산을 받지 않으려하고, 자신들은 매년 수백만대의 자동차를 수출하면서 미국산 자동차는 10년 동안 한 대도 받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에 있어서 매우 불공평했고, 이제 그런 시대는 끝났다”며 “그들에게 서한을 보내 ‘우리는 당신들에게 감사합니다. 당신들은 30%, 35% 또는 우리가 결정하는 숫자를 (관세로) 지불해야 할 것입니다’라고 말할 것이다”고 압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9일부터 각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 전용기에서 상호관세 유예조치를 연장할 계획이냐는 취재진 질문에 “아니다, 유예(pause)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고 있다”며 “많은 국가들에 서한을 쓸 것이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상호관세 발표 후 발효를 유예하고 각국과 협상을 진행해왔다. 하지만 90일 유예가 만료되도록 대부분 국가들과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각국에 개별적인 관세율을 확정해 통보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했다.
그는 지난달 29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곧 서한을 보내기 시작할 것”이라며 “(다른 나라와) 만날 필요도 없다. (국가별 관세율) 숫자는 이미 다 알고 있다”고 밝혔다. 또 서한을 통해 “‘이제 미국에서 무역을 할 수 있다. 25%, 35%, 50% 또는 10% 등 관세를 내야 한다’고 말할 것”이라고 했다. 한국의 주력 산업인 자동차에 대한 관세 또한 강행할 뜻을 밝히면서 한국의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