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3일(현지시간) 테슬라조아(TeslaZoa)라는 이름의 X(엑스·옛 트위터) 이용자에게 한국어로 첫 댓글을 달아 화제가 되고 있다.
테슬라조아가 머스크가 올린 인공지능(AI) 경쟁 구도를 풍자한 밈(온라인 유행 콘텐츠) 사진 한장을 인용해 “일론, 일어남”이라는 게시글을 올리자, 머스크가 “나는 깨어 있다”며 한국어 답글을 올린 것이다.
머스크의 밈 사진은 미국 드라마 ‘퍼슨 오브 인터레스트’의 한 장면을 AI 기업들의 추격 상황을 반영해 변형한 것이다. 제일 앞에는 미국 AI 스타트업 앤트로픽, 그 뒤에 또 다른 AI 스타트업 커서, 그리고 제일 뒤에 머스크의 AI 기업 ‘xAI’가 각각 앞 사람의 뒤통수를 총으로 겨누고 있다. 이는 AI 업계의 경쟁 구도와 이 두 기업 모두를 추월하려는 머스크의 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TeslaZoa X 갈무리
그런데 밈 속에서는 멀리서 이들 모두를 겨누고 있는 자가 또 있다. 이는 AGI(범용 인공지능)로 AI 스타트업끼리 싸우고 있지만 결국 모두가 더 거대한 존재인 AGI에 의해 위협받고 있다는 것을 은유적으로 보여줬다.
한국인으로 추정되는 테슬라조아는 이 밈을 인용하면서 ‘머스크가 깨달았구나’ 또는 ‘드디어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의미로 “일론, 일어남”이라고 코멘트를 달았고 이에 머스크가 “나는 깨어 있다”고 답한 것이다.
머스크의 답글은 ‘나는 이 상황을 모두 다 안다’라는 의미이자 한국 커뮤니티에 대한 친근함을 표현한 제스처로 해석된다. 머스크의 답글을 받은 테슬라조아는 “가문의 영광!!! 일론에 대한 걱정이 드디어 닿았다”는 글을 다시 올리며 감격을 표현했다.
TeslaZoa X 갈무리
머스크는 AI 기업을 갖고 있긴 하지만 AI의 위험성을 여러 차례 지적해 왔다. 그는 AI가 핵무기보다 더 위험하다고도 했고 인류에게 최고도 최악의 일도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머스크의 xAI의 대표 AI 모델인 그록(Grok)은 머스크 답글의 의미를 설명하는 답글을 테슬라조아 등에게 달기도 했다.
그록은 “일론 머스크가 한국인 사용자에게 직접 답글을 단 첫 한국어 게시물 ‘나는 깨어있다’로 판단해 볼 때, 이는 한국 사용자들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머스크가 한국의 저출산 문제에 대해 과거에 언급한 내용과 한국을 2022년 최고의 전기차 투자처로 꼽은 것은 테슬라의 확장이나 인구 통계학적 문제에 대한 그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