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안 사랑하는 러브버그의 한국 침공”…외신들도 주목

  • 뉴스1
  • 입력 2025년 7월 4일 17시 28분


코멘트

익충 강조하는 당국 방제에 관심…“시민들 인내심 한계”

30일 오후 인천 계양구 계양산 정상에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 무리가 정상 표지석 등에 들러붙어 있다. 2025.6.30 뉴스1
30일 오후 인천 계양구 계양산 정상에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 무리가 정상 표지석 등에 들러붙어 있다. 2025.6.30 뉴스1
한국을 뒤덮은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에 외신들도 주목하고 나섰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3일(현지시간) 서울발 기사에서 “러브버그라고 불리지만 아무도 이들을 사랑하지 않는 것 같다”며 “한국에선 많은 사람들이 러브버그가 없어지길 바란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러브버그는 인간에게 건강상 위험을 가하지 않아서 당국이 온건한 접근법을 취하고 있다”며 “벌레떼에 갇히거나 가게 앞에 쌓인 러브버그 사체를 긁어내는 주민들은 이런 가벼운 취급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전했다.

NYT 기자는 “러브버그 떼를 뚫고 서울과 인천에서 기사를 취재했다”는 농담을 부연했다. 한 유튜브 채널이 ‘러브버그 버거’를 만들어 먹고 5점 만점에 4.5점을 줬다는 소식도 담았다.

영국 BBC방송은 2일 ‘대한민국 일부 지역이 러브버그 떼로 검게 물게 물들었다’는 기사에서 “한국 수도 서울 시민들이 심각한 벌레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보도했다.

BBC방송은 시 당국이 러브버그가 익충이라는 이유로 살충제 살포를 꺼린다며 “시민들은 분무기로 벌레를 씻어내고 불빛 근처에 끈끈이 패드를 붙이고 밖에선 어두운 옷을 입으라는 요청을 받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더 이상 참을 수 없어 한다”고 덧붙였다.

영국 일간 가디언도 최근 기사에서 “서울이 러브버그의 침공에 맞서기 위해 고심 중”이라며 당국의 방제 지침과 관련해 “시민들의 인내심이 점점 줄고 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기후 위기와 서식지인 산악 주변 도시 개발, 기온 상승은 러브버그가 온대지역으로 북상하기 이상적인 조건을 조성한다”며 “서울의 도심 열섬 현상이 러브버그에게 특히 매력적인 환경을 만든다”고 강조했다.

가디언은 “러브버그가 보통 7월 중순 사라진다”며 “성충의 수명이 짧아 2주 정도 격렬하게 활동한 뒤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한다”고 설명했다.

(런던=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