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올해 2분기 5.2%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미국의 관세 부과와 국내 수요 부진 속에서도 상반기 기준 5.3% 성장률을 달성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날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1분기 경제성장률 5.4%에 이어 2분기 연속 5%대를 유지한 것이다. 앞서 로이터·블룸버그 통신 등은 전문가 의견을 취합해 2분기 성장률을 5.1%로 전망했는데 소폭 웃돌았다.
이로써 1~6월 상반기 성장률은 5.3%가 됐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올해 상반기 국내총생산(GDP)이 66조536억위안(약 1경2733조 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중국 국무원은 올 3월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5% 안팎으로 제시한 바 있다.
미국과의 무역전쟁과 국내 수요 부진 등 안팎의 악조건 속에서도 보조금 지급 등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이 일부 효과를 거둔 것으로 풀이된다. 상반기 소매 판매는 지난해 동기 대비 5.0% 증가해 1분기 소매 판매 성장률(4.6%)보다 증가 폭이 커졌다.
상반기 공업 생산도 작년 동기 대비 6.4% 증가했다. 3D프린터(43.1%)와 신에너지차(36.2%), 공업용 로봇(35.6%) 등의 생산 증가가 전반적인 상승세를 이끌었다고 국가통계국은 설명했다.
다만 이 같은 경제성장 추세가 하반기에도 이어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미국은 중국산 수출품의 우회 수출 경로인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겨냥해 다음 달 1일부터 25~4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압박하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상반기까지는 정책 효과와 미국과의 일시적인 관세 휴전 덕분에 비교적 견조한 성장 흐름을 유지했지만, 하반기에는 수출 반작용,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하락) 악순환, 미국 관세 재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성장률이 빠르게 둔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내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부동산 경기가 여전히 침체 국면이라는 점도 하반기 경제 전망에 부정적인 요소다. 올해 상반기 부동산개발투자는 11.2% 감소한 것으로 집계돼 1분기(-9.9%)보다 2분기 감소 폭이 컸다. 상반기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작년 동기 대비 0.1% 하락해 디플레이션 우려가 이어졌으며 6월 기준으로는 작년 동월 대비 0.1% 상승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