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내 반도체 제조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인텔 지분 10% 인수를 검토 중이다.
현재 미국은 엔비디아, AMD 등을 중심으로 칩 설계 경쟁력은 높지만, 실제 생산은 대만의 TSMC 등 해외 업체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직접 칩을 설계하고 제조하는 인텔을 통해 미국의 반도체 제조 점유율을 끌어올리려는 구상이다.
18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지난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립부 탄 인텔 CEO(최고경영자)의 중국 군사 관련 기업에 투자한 이력을 문제 삼아 사임을 촉구하자, 두 사람은 지난 11일 백악관에서 만나 정부의 지분 투자 관련 방안을 논의했다.
논의 중인 핵심 옵션은, 2022년 ‘칩스 앤 사이언스 법’에 따라 정부가 인텔에 지원하기로 예정된 자금 중 일부를 지분으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인텔은 이 법의 최대 수혜자로, 지난해 바이든 행정부는 인텔이 오하이오주와 미국 전역에서 신규 공장을 건설하고, 기존 시설을 확장하는 조건으로 약 80억 달러 지원 대상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인텔은 일정 성과 달성 후 자금을 받을 계획이었다.
하워드 루트닉 미 상무장관은 이 자금을 지분으로 전환하는 것이 국민 세금을 보호하면서도 인텔을 지원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보고 있다.
그러나 인텔이 추진하기로 했던 오하이오 공장은 이미 수년간 지연되며 의회의 반발을 사고 있고, 탄 CEO에 대한 사임 압박까지 겹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지분 10%의 정확한 가치는 아직 협의 중이다. 인텔의 시가총액은 약 1000억 달러로, 정부가 10%의 지분을 확보할 경우 인텔의 최대주주 중 하나가 된다.
WSJ은 “최근 많은 기술 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환심을 사기 위해 미국 내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인텔의 지분 거래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민간 기업에 직접 개입한 최근 사례가 될 전망”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엔비디아와 AMD는 중국에 반도체 칩을 판매할 수 있는 수출 허가의 대가로 매출의 15%를 정부에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