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워싱턴=AP 뉴시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8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 정장 차림으로 등장했다. 전쟁 이후 줄곧 군복 스타일을 고수해온 젤렌스키 대통령이 올 2월 파행으로 끝났던 첫 정상회담을 의식해 복장부터 변화를 준 것으로 보인다.
이날 젤렌스키 대통령은 검은색 재킷과 셔츠를 입고 백악관을 찾았다. 넥타이는 매지 않았지만, 지난 2월 군복 차림과는 확연히 달랐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이를 두고 “마치 전투복과 고전적 정장 사이에 위치한 일종의 패션 비무장지대(DMZ) 같았다”고 평가했다. NYT는 “젤렌스키의 새로운 모습은 트럼프 대통령을 만족시킨 듯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승리’로 여겼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강경보수 성향 케이블 채널 ‘리얼아메리카보이스’의 브라이언 글렌 기자는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정장이 아주 멋지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2월 회담장에서 “왜 정장을 입지 않았냐”고 물어 논란을 일으킨 인물이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도 “나도 똑같이 말했다”며 “기억나나. 저 기자가 지난번 당신을 공격했었다”고 거들었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기억한다. 나는 옷을 바꿨는데 당신은 그때와 같은 옷을 입고 있다”고 응수하자 현장에서는 웃음이 터져 나왔다.
월스트릿저널(WSJ)에 따르면 백악관은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정장과 넥타이 착용을 사전에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NYT는 2월 회담 당시 트럼프가 젤렌스키의 ‘군복’ 스타일을 지적한 것을 놓고 “마치 TV 방송을 위한 각본대로 만들어진 장면처럼 보였다”고 평가했다. 이어 젤렌스키가 이번에 복장을 바꾼 것에 대해선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쇼를 주도하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였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워싱턴=AP 뉴시스 지난 2월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백악관 첫 정상회담 당시 “그가 제대로 차려입었다”며 비꼬았다. 글렌 기자도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왜 정장을 입지 않았느냐. 많은 미국인이 당신이 미국을 존중하지 않는다고 여길 것”이라고 지적했고,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쟁이 끝난다면 복장을 갖춰 입겠다”며 “당신과 비슷한 옷을 입거나 더 좋을 걸 입게 될 수도 있겠다”고 맞받았다.
그에 반에 이번 회담은 6개월 전과 비교하면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진행됐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부인인 올레나 젤렌스카 여사가 트럼프 대통령 부인인 멜라니아 여사에게 보내는 서한을 전달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건 대통령님이 아니라 부인께 보내는 편지”라고 말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소리 내어 웃었다. 이 서한에는 우크라이나 전쟁 피해 아동에 대한 멜라니아 여사의 관심에 감사를 표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젤렌스키 대통령을 대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태도도 확연히 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의 팔을 건드리거나 눈을 쳐다보며 말하는 등 친근감을 나타냈다. 때론 기자들에게 질문을 받은 뒤 대답하다가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한마디 하라고 독려하기도 했다.
정상회담 이후 이어진 유럽 정상들과의 다자 회담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발언을 한 뒤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발언 기회를 넘기려 했다. 이때 젤렌스키 대통령 자리에 마이크가 없는 것을 보고는 “여기 오셔서 발언하거나 내 마이크를 사용해도 된다. 아니면 돌아서 발언해도 되고 편한 대로 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마이크 없이 할 수 있다”면서 뒤돌아 카메라를 보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화가 “정말로 가장 좋은 대화였다(the best one)”고 강조했다.
지난 2월 회담에서 “미국에 무례하다”며 젤렌스키 대통령을 몰아붙였던 JD 밴스 부통령도 이날 회담에서는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