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트럼프 첫 대면 사흘 앞두고 의제 조율
美, 인태 억제력 강화·자국 제조업 활성화도 강조
조현 외교부 장관, 日 건너뛰고 전날 급히 방미
ⓒ뉴시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간 첫 정상회담을 사흘 앞둔 22일(현지 시간) 양국 외교장관들이 만나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담은 정상회담 의제 조율 차원으로 보이는데, 미국은 방위분담 확대와 공정한 무역 관계를 강조했다.
미국 국무부는 이날 토미 피갓 수석부대변인 명의 성명에서 “마코 루비오 장관은 이날 조현 외교부 장관과 회담했다”며 “양측은 한미동맹의 지속적인 강점을 주목했는데, 한미동맹은 70여년간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 안보, 번영의 핵심 축으로 자리해왔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루비오 장관과 조 장관은 인도태평양에서의 억제력 강화, 집단 방위분담 확대, 미국 제조업 활성화 조력, 공정하고 상호주의적 무역관계 회복 등 미래 지향적 의제를 중심으로 한미동맹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한미일 3국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회담은 조 장관이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지난 21일 돌연 미국을 방문하면서 이뤄졌다. 이 대통령은 오는 23~24일 일본을 방문한 뒤, 24~26일 미국을 찾아 연이어 정상회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미 국무부가 방위분담 확대와 공정 무역을 언급한 만큼 오는 25일 정상회담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관련 문제를 꺼내들 가능성이 있다.
한편 조 장관의 미국행과 이번 회담은 다소 급작스럽게 이뤄진 면이 있다.
조 장관은 당초 대통령 순방을 동행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한일 정상회담은 전날 건너뛰고 곧바로 미국으로 향했다. 워싱턴DC 직항편도 이용하지 못했는데, 갑작스럽게 일정이 잡힌 탓으로 보인다.
이를 두고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의 무리한 요구 등 돌발 변수가 생긴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정부는 명확한 설명을 내놓지 않았고, 평소와 달리 한미 외교장관 회담 일정 역시 사전에 공지하지 않았다.
미 국무부 역시 전날 밤 발표한 주요 일정에는 한미 외교장관 회담을 포함하지 않았다. 이에 회담 일정이 조기에 결정된 것은 아닌 것으로 해석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