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복용 시 태아 자폐증과 잠재적 연관 가능성
‘자폐증 데이터 과학 이니셔티브’ 운영 美NIH 주도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해열진통제 ‘타이레놀’./뉴스1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의 ‘타이레놀’(성분명 아세트아미노펜) 부작용 주장 소식과 관련해 연관된 보고서가 발표되면 보고서 내용을 검토해 필요시 조치를 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9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의약품안전평가과는 “미국 정부가 해당 내용에 대해 보고서를 발표하면 (보고서 내용을) 검토해 필요시 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5일(현지시간)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장관이 이끄는 미국 보건복지부(HHS)가 임신 중 타이레놀 복용이 태아 자폐증과 잠재적으로 연관이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할 것이라는 소식을 전했다.
타이레놀은 글로벌 제약사 존슨앤드존슨(J&J)에서 분사된 소비자 건강제품 전문기업 켄뷰의 일반의약품(OTC)이다. 감기로 인한 발열과 통증, 두통, 근육통, 치통 등 임산부를 포함해 해열진통제로 사용되는 약이다.
이번 소식은 타이레놀 사용이 안전하다는 기존 의학 지침에 반대되는 내용이다.
WSJ는 해당 보고서가 중요한 비타민인 엽산의 낮은 수치와 임신 중 복용한 타이레놀이 어떻게 자폐증의 잠재적 원인이 될 수 있는지를 강조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케네디 장관이 보고서를 통해 폴리닉산이라는 엽산 유래 약물이 일부 사람들의 자폐증 증상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제안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보건복지부는 최종 보고서가 발표되기 전까지 관련 내용에 대한 주장은 추측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켄뷰는 성명을 통해 임신 중 타이레놀 사용과 자폐증 사이에는 인과 관계가 없다고 믿는다고 전했다. 예비 산모들에게 타이레놀 등 약물을 복용하기 전에 의료 전문가와 상담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켄뷰는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주요 의료 기관들이 아세트아미노펜의 안전성, 임신 중 사용, 라벨에 제공된 정보에 대해 동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로이터 등에 따르면 앞서 케네디 장관은 자폐증의 원인을 찾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자폐증이 과학적 증거 없이 백신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해 왔다. 아직 명확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지만 ‘환경 독소’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말해왔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이 이번 보고서 작성 등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NIH는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해 자폐증 원인을 조사하고 기존 치료법을 평가하는 ‘자폐증 데이터 과학 이니셔티브’를 운영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약사는 “임산부는 타이레놀을 복용하기 전에 의사, 약사와 상의하게 돼 있다”면서 “대체로 안전하다는 연구가 주를 이루지만 그렇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미국 규제당국의 발표를 봐야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관련 소식이 전해진 후 켄뷰 주가는 전날 대비 9.35% 하락한 18.62달러(약 2만 6000원)를 기록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