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무역협정 없는 수입품 관세 인상…中 자동차 50% 직격탄

  • 뉴시스(신문)

코멘트

WTO 허용 최대치까지 인상, 美와의 무역 관계도 고려
中 자동차 포함 520억 달러 수입품 영향…32만 산업 일자리 보호 목표


멕시코 정부가 무역협정이 체결되지 않은 국가에서 수입되는 주요 품목에 대한 관세를 인상할 계획이다. 이는 국내 산업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지만, 특히 중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가 50%로 크게 오르는 점을 두고 미국과의 관계를 의식한 행보라는 해석도 나온다.

10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멕시코 정부는 내년도 연방 예산안과 함께 관세 인상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법안이 시행되면 약 1500개 품목, 총 520억 달러 규모의 수입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멕시코 경제부 장관 마르셀로 에브라르드는 “이번 조치는 WTO(세계무역기구)가 허용하는 최대 관세 수준까지 인상하는 것”이라며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철강, 섬유, 장난감, 가전제품, 신발 등 다양한 품목이 대상”이라고 밝혔다.

멕시코는 미국·캐나다·유럽연합·일본 등 50개국 이상과 무역협정을 체결하고 있다. 협정이 없는 국가 중에서는 중국이 최대 수출국이며, 그 외 한국·인도·러시아 등이 포함된다.

이번 조치 중 가장 큰 타격을 받는 품목은 중국산 자동차다. 관세율이 기존 15~20%에서 WTO가 허용하는 최대치인 50%로 상승한다. 중국산 자동차의 멕시코 신차 판매의 약 5분의 1로, 맥시코 자동차 산업 전체의 23%를 차지하고 있다.

에브라르드 장관은 “저가로 수입되는 경형 차량에 대한 관세를 인상하는 것이 국내 산업 보호의 한 방법”이라며, 이번 관세 조치가 주요 제조업 지역에서 위험에 처한 32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지키는 데 목표가 있다고 강조했다.

멕시코 재무부 장관 에드가르 아마도르는 이번 관세 인상이 국내 산업 보호뿐 아니라, 미국과 캐나다와의 현재 및 향후 무역 논의와도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멕시코는 트럼프 행정부의 글로벌 경제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안보와 이민 문제 등 여러 분야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강한 압박을 받고 있다. 현재 멕시코는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에 의해 대미 수출의 약 90%가량을 무관세로 보내고 있는데, 이 협정은 내년 재검토 예정이다. 미국은 중국이 멕시코를 우회로로 이용해 고율 관세를 피하고 있다고 불만을 드러낸 바 있다.

경제학자들은 이번 조치가 일부 세수 확보와 트럼프 대통령을 만족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동시에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