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모바일 데이터 장애 2000건 돌파
포스기·교통카드·배달까지 마비
서방 제재로 통신망 유지도 난관
AP뉴시스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영토 깊숙한 표적에 드론 공격을 늘리자, 러시아가 인터넷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면서 소비자·기업·공공 서비스에 차질이 빚어졌다.
11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이동통신망을 활용해 러시아 공군기지를 타격하자 지역별 인터넷 차단 강도를 강화했다.
러시아 기술 지원 프로젝트 ‘나 스뱌지’의 자료에 따르면 7~8월 모바일 데이터 장애 건수는 2000건을 넘었으며, 이는 6월 대비 세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망명 중인 러시아 디지털 권리 단체 ‘인터넷 보호 협회’의 미하일 클리마레프 국장은 “전쟁이 마침내 러시아에 도달했다”며 “드론이 도착하고 있고, 그들이 방어를 위해 이렇게 대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 차단으로 인해 현금등록기(포스기)가 작동하지 않고, 버스가 교통카드를 인식하지 못하며, 배달 기사들이 주소를 찾지 못하는 등 일상생활 전반에 혼란이 발생했다.
러시아 경제는 이미 서방 제재, 공급망 혼란, 기록적 고금리로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인터넷 차단이 추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인터넷 보호 협회는 러시아 전역에서 한 시간의 인터넷 차단으로 4640억 루블(약 7조 6235억원), 모스크바에서만 960억 루블(약 1조 5773억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고 추정했다.
인터넷 차단은 주로 군사 시설 주변에서 이루어지며, 현지 당국은 드론 유도를 방해하기 위해 이동통신망을 끊는다. 대부분의 경우 차단은 몇 시간에서 며칠간 지속된다.
FT는 “이러한 인터넷 차단은 러시아가 디지털 공간에서 통제를 강화하고 전쟁 선전 및 허위 정보 유포를 확대하는 가운데, 러시아 사회의 억압감을 한층 심화시키고 있다”고 전했다.
서방 제재로 핀란드의 노키아와 스웨덴의 에릭손이 러시아 시장에서 철수하면서, 러시아 통신사들의 장비 조달 선택지는 크게 줄었다. 클리마레프는 “이제 중국의 화웨이만 남았지만, 상당수 장비가 비공식 경로(회색 수입)로 들어오고 있으며 필요한 물량에도 턱없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11개 시간대를 아우르는 광활한 영토에 130만 개 이상의 이동통신 기지국을 운영하며, 매년 수천 개의 기지국을 교체해야 한다. 클리마레프는 “전쟁 전에는 네트워크 유지를 위해 매년 5만 대 이상의 장비를 정기적으로 수입했지만, 이제는 그게 매우 어려워졌다”며 “주요 공급업체들이 떠난 만큼, 연결 품질이 수십 년에 걸쳐 서서히 나빠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