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1월 24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 아이카와 개발종합센터에서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차관급) 및 참석자들이 추모 묵념을 하는 가운데 한국 정부 관계자 및 유가족의 자리가 비어 있다. 2024.11.24/뉴스1
일제강점기 사도광산에 끌려가 강제노역을 한 피해자들을 기리는 추도식에 한국 정부가 불참하면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반쪽짜리’ 추도식이 됐다. 한국 정부는 추도사에서 조선인 강제동원의 역사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해 일본 측에 불참을 통보했다.
사도광산 추도식 실행위원회는 13일 오후 니가타현 사도시 아이카와 개발종합센터에서 사도광산 추도식을 열었다. 행사에는 약 80명이 참석했다. 일본 정부 대표로 참석한 오카노 유키코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은 국장급으로, 지난해 차관급인 정무관에서 국장급으로 격이 낮아졌다.
행사는 묵념, 개회사, 사도시·니가타현·일본 정부 대표 추도사, 헌화 순으로 진행됐다.
오카노 심의관은 “광산 노동자 중에는 한반도에서 온 많은 분도 포함됐다”며 “한반도에서 온 노동자들은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이라고 해도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토지에서 사랑하는 가족을 생각하면서 갱내의 위험하고 가혹한 환경에서 힘든 노동에 종사했다”고 말했다.
이어 “전쟁이 끝날 때까지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고 유감스럽게도 이 땅에서 돌아가신 분도 계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모든 시대, 모든 사도광산 노동자의 노고를 생각하면서 돌아가신 모든 분에 대해 진심으로 애도의 뜻을 표한다”고 말했다.
지난해와 대동소이한 문구로, 올해도 조선인들의 강제 노동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한일은 추도사 내용 중 ‘강제 노역’이라는 표현을 두고 갈등을 빚어 왔다. 한국 정부는 피해자들에 대한 합당한 애도가 있으려면 그 고난의 근원과 성격이 무엇이었는지 언급해야 한다고 봤으나 일본 측이 협의 과정에서 제시한 표현 수위로는 충분치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양측은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고, 한국 정부는 4일 일본 측에 불참 결정을 공식 통보했다. 정부와 유가족 등을 올해 자체 추도식을 예정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한국인 노동자들이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로 노역해야 했다는 것이 적절히 표현돼야 추모의 격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했다”면서 “노동의 강제성에 관한 구체적 표현에서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불참 배경을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이시바 총리가 사퇴 의사를 밝히기 전에도 협의를 했는데 의견 합치를 보기 어려웠다”며 “그래서 이번에는 (추도식 참석을) 포기했다”고 밝혔다.
일본은 지난해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조선인 강제노동 역사를 반영하겠다고 한국과 약속했지만, 지난해 11월 첫 추도식을 추진하면서 추도사 등에서 한국과 이견을 빚은 바 있다. 결국 당시에도 한국 측이 불참하며 일본 단독으로 추도식을 진행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