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커 칼슨 “커크가 남긴 유산 ‘표현의 자유’ 수호해야”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9월 21일 16시 24분


코멘트
“이 혼란의 끝에 ‘혐오 발언법’이 도입된다면 저항해야 한다.”

최근 암살된 찰리 커크 터닝포인트USA 대표를 둘러싼 추모 논란이 미국 사회에서 ‘이념전쟁’, ‘문화전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폭스뉴스 출신의 보수 논객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으로 꼽히는 터커 칼슨 전 앵커가 16일 이 같이 밝혔다. 전날 팸 본디 미 법무장관이 “반대 진영의 혐오 발언을 겨냥하겠다”고 밝히자, 미 헌법상 ‘표현의 자유’에 대한 도전이라며 비판한 것이다.

최근 트럼프 행정부 주요 인사와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진영 전반에서 커크 추모에 반대하는 인사들에 대한 대대적인 색출 및 공격에 나서자, 고인과 친분이 두터웠던 칼슨 등 일부 보수 인사들이 “표현의 자유를 강조한 커크의 뜻을 이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모양새다. 이 과정에서 트럼프 행정부 및 마가 진영과도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칼슨은 19일 커크가 생전 진행했던 ‘찰리 커크 쇼’의 추모 특별 방송에 출연해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에게 손해가 될 것 같으면 표현의 자유를 포기하지만 커크는 절대 등을 돌리지 않았다”며 커크가 남긴 유산을 지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마가 진영 유력 인사로 분류돼 온 칼슨은 24일 ‘표현의 자유의 종말’이라는 주제로 온라인 방송을 진행할 예정이다.

칼슨은 2023년 실언 논란으로 폭스뉴스에서 퇴출됐다. 회사 간부를 험담하고, 여성 차별적 표현을 한 문자 메시지가 소송을 통해 공개돼 14년간 몸담았던 폭스뉴스에서 쫒겨났던 것. 2020년 대선 직후 발생한 ‘1.6 의사당 난입 사태’에 대한 음모론을 확산시키고, 인종차별 발언을 했던 칼슨을 주시하던 경영진이 문자메시지 공개로 퇴출을 결정했다고 당시 워싱턴포스트(WP) 등이 보도했다. 이후 칼슨은 부적절한 발언을 한 공인을 퇴출시키는 이른바 ‘캔슬 문화’에 강한 반감을 표시했다.

칼슨은 19일 방송에서 커크가 힘든 시기에 자신을 지지해줬다는 밝혔다. 그러면서 커크가 지난해 X에 게재했던 글을 소개했다. 당시 커크는 “혐오 발언은 미국에서 법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추한 발언이 있고, 역겨운 발언이 있고, 사악한 발언이 있다. 그리고 그것들 모두 미 수정헌법 1조에 의해 보호된다. 미국을 자유롭게 지켜야 한다”고 썼다.

#찰리 커크#터커 칼슨#표현의 자유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