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치매 위험 40%↑…“뇌구조 변화시켜”

  • 뉴시스(신문)

코멘트
ⓒ뉴시스
만성 불면증이 단순한 피로를 넘어 노년기 인지 기능 저하와 치매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현지 시각) 영국 건강 전문 매체 메디컬뉴스투데이에 따르면 미국 미네소타주 메이요 클리닉 연구진은 국제학술지 ‘뉴롤로지(Neurology)’에 게재한 논문을 통해 평균 연령 70세 인지 건강한 노인 2750명을 대상으로 5~6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만성 불면증 환자(주 3회 이상,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장기 불면 상태)는 비만성 불면증 환자보다 경도인지장애(MCI)와 치매를 포함한 인지 기능 저하 위험이 40% 더 높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메이요 클리닉 노화 연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됐다. 연구진은 만성 불면증 환자와 비환자를 대상으로 매년 인지 기능 검사와 뇌 영상(MRI·아밀로이드-PET)을 실시했으며, 통계 분석에서는 건강 상태와 생활습관 요인을 보정해 인지 기능 저하 위험과 뇌 영상 지표 변화를 평가했다.

연구 결과, 평소보다 수면 시간이 적어진 불면증 환자는 초기 검사에서 ‘백질 고신호 병변(WMH)’과 ‘독성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β-amyloid, Aβ)’ 축적이 이전보다 더 많이 발견돼 뇌구조가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지속적인 수면 문제가 노년기에 인지 기능 저하와 연관될 수 있는 이유를 보여준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만성 불면증 환자는 실제 나이보다 약 3.5년 더 노화된 수준과 유사하게 인지 기능 저하 위험이 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불면증이 추적 관찰 기간 동안 WMH나 아밀로이드 축적 속도를 가속화하지는 않았다.

연구를 이끈 디에고 Z. 카르발류 수면의학 전문의는 “불면증이 치매 위험 인자로서 고혈압과 당뇨병을 합친 것보다 큰 영향을 미쳤다”며 “만성 불면증은 단순한 노화가 아니며, 불면증 치료의 표준으로 꼽히는 인지행동치료(CBT-I)가 보다 폭넓게 1차 진료 현장에 도입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향후 객관적인 수면 측정과 대규모 장기 연구를 통해 불면증 치료가 실제로 치매 위험을 낮출 수 있는지 확인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