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유엔총회에 참석한 이란 대표단의 코스트코 같은 대형 유통업체의 매장과 사치품에 대한 접근을 막기로 했다. 토미 피곳 미 국무부 수석 부대변인은 22일 성명을 통해 “이란 국민이 빈곤과 붕괴한 인프라, 심각한 물 전기 부족을 겪는 동안 이란 정권의 성직자 엘리트들이 뉴욕에서 흥청망청 쇼핑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현재 미국 뉴욕의 주유엔 이란 대표부에서 근무하는 이란 외교관과 그 가족은 코스트코, 샘스클럽, BJ’s 등 미국 내 모든 창고형 할인마트에 회원 가입을 하거나 물품을 구매하려면 미 국무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또 1000달러(약 139만 원)를 초과하는 사치품, 6만 달러(약 8369만 원)를 초과하는 차량을 구입할 때도 사전에 허가를 받아야 한다. 사치품에는 시계, 신발, 핸드백, 귀금속, 전자·가전제품 등이 포함된다. 이 같은 조치는 이란 외교관들이 자국에서 판매되지 않는 미국 제품을 값싸게 구입한 뒤 고국에서 비싸게 되팔아 차익을 남기는 행위를 막기 위한 거라고 CNN은 분석했다.
미국은 이 같은 국무부 방침을 유엔총회에 참석한 이란 대표단에도 적용키로 했다. 이에 따라 이들의 이동 범위를 공식 업무 수행을 위해 오가는 유엔 본부 주변으로 제한할 방침이다. 창고형 매장과 명품 매장에서의 쇼핑은 금지된다. 피곳 부대변인은 “미국인의 안전이 우리의 최우선 순위다. (이란 대표단이) 유엔총회를 계기로 테러리즘 의제를 홍보하기 위해 뉴욕을 자유롭게 다니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1979년 이란 이슬람 혁명을 계기로 반미 성향 이란 대학생들이 테헤란의 주이란 미 대사관을 점거하고 미국인 52명을 444일간 인질로 잡은 사건을 계기로 이란과 단교했다. 이에 따라 주유엔 이란 대표부는 미국에 있는 유일한 이란 정부 기관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