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영화관 찾기보다 스트리밍으로 집에서 영화 보기 더 선호

  • 뉴시스(신문)
  • 입력 2025년 9월 25일 21시 14분


코멘트

편의성과 점점 비싸지는 극장 영화 관람 비용이 주요 원인
코로나19 대유행과 그 여파가 스트리밍으로의 이동 가속화시켜

2012년 3월20일 미 캘리포니아주 로스가토스의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 넷플릭스 본사의 모습. 미국인들은 편의성과 비용 때문에 극장을 찾아 영화를 보는 대신 넷플릭스나 디즈니+, 훌루와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집에서 편안하게 새로 개봉된 영화를 보는 것을 더 선호화는 것으로 25일 AP통신과 NORC 공공문제연구센터의 새 조사에서 나타났다. 2025.09.25 샌프란시스코=AP 뉴시스
2012년 3월20일 미 캘리포니아주 로스가토스의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 넷플릭스 본사의 모습. 미국인들은 편의성과 비용 때문에 극장을 찾아 영화를 보는 대신 넷플릭스나 디즈니+, 훌루와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집에서 편안하게 새로 개봉된 영화를 보는 것을 더 선호화는 것으로 25일 AP통신과 NORC 공공문제연구센터의 새 조사에서 나타났다. 2025.09.25 샌프란시스코=AP 뉴시스
미국인들은 편의성과 비용 때문에 극장을 찾아 영화를 보는 대신 넷플릭스나 디즈니+, 훌루와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집에서 편안하게 새로 개봉된 영화를 보는 것을 더 선호화는 것으로 25일 AP통신과 NORC 공공문제연구센터의 새 조사에서 나타났다.

이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약 4분의 3이 지난 1년 동안 적어도 한 번은 극장에서가 아니라 스트리밍으로 새 영화를 봤다고 답했으며, 1달에 1번 이상 스트리밍으로 새 영화를 본 사람은 10명 중 3명 꼴이었다.

반면 지난 1년 간 새로 개봉한 영화를 극장에서 본 적이 있다고 답한 사람은 약 3분의 2에 그쳤다. 1달에 1번 이상 극장을 찾았다고 답한 사람은 16%에 불과했다.

이러한 결과는 미 영화 관객들이 극장에서 영화를 보는 것보다 영화를 스트리밍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과 그 여파로 더욱 가속화됐다. 극장에 갈 시간을 찾지 못하거나 점점 더 높아지는 극장에서의 영화 관람 가격을 지불하기 어렵다는 점이 사람들에게 스트리밍을 선택하게 만들고 있다.

데이터 회사 엔텔리전스에 따르면 미 극장들의 영화 관람 평균 비용은 13.17달러(약 1만8500원)으로 2022년의 11.76달러(약 1만6500원)보다 10% 이상 높아졌다.

한편 젊은 세대일수록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는 것보다 스트리밍을 통해 집에서 영화를 보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AP/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