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김정은과 세차례 회담으로 한반도 안정”
“美 대북정책은 변함 없다”지만 비핵화 언급 안해
트럼프, 내달 열리는 경주 APEC 참석 위해 방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 경기도 파주시 비무장지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서 월경해 북측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 얘기하고 있다, 2019.06.30 청와대사진기자단
북한이 비핵화 요구는 결코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밝히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 전제조건 없이 북한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30일(현지 시간) 밝혔다.
미 백악관 관계자는 이날 북한의 비핵화 수용 불가 입장에 대한 뉴시스 논평요청에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재임 시절 북한 지도자 김정은과 세차례의 역사적인 정상회담을 개최해 한번도를 안정시켰다”며 “미국의 대북 정책은 변함이 없다”고 답했다.
그러면서도 이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어떠한 전제조건도 없이 김정은과 대화하는 것에 여전히 열려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그간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추구하고 있다는 점을 거듭 강조해왔으나, 이날 성명은 북한과 대화 의지에 보다 방점을 찍은 것으로 풀이된다. 비핵화 표현 자체를 사용하지 않은 것도 북한과 대화 국면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이번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을 약 한달 앞두고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달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일각에서는 APEC 방한을 계기로 북한과의 깜짝 회동이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한 후 북미 대화 재개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표명했고, 최근 들어서는 북한도 반응을 보인 바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21일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만약 미국이 허황한 비핵화 집념을 털어버리고 현실을 인정한데 기초하여 우리와의 진정한 평화공존을 바란다면 우리도 미국과 마주서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또한 “나는 아직도 개인적으로는 현 미국 대통령 트럼프에 대한 좋은 추억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조건아 맞을 경우 미국과 대화할 생각이 있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다만 북한은 핵무기를 포기할 생각은 결코 없다는 점도 지속 강조하고 있다. 북미대화를 위해서는 미국이 비핵화 목표를 포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날 김선경 북한 외무성 부상은 미국 뉴욕의 유엔 본부에서 열린 80차 유엔 총회 고위급 회기 일반토의 연설에서 “우리에게 비핵화라는 것은 곧 주권을 포기하고 생존권을 포기하며 헌법을 어기라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절대로 주권 포기, 생존권 포기, 위헌행위를 하지 않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