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1일(현지시간)부터 시행하기로 했던 ‘수입 의약품에 100%관세 부과’ 방침을 미뤘다는 보도가 나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에 의약품 제조 공장을 건설하고 있지 않는 제조사의 의약품을 대상으로 10월 1일부터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구체적으로 모든 브랜드 의약품(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의약품을 복제한 의약품 중 특정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제품) 또는 특허 의약품이 대상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같은 방침을 구체화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는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미국 정치전문 매체 폴리티코는 이날 “트럼프 행정부가 현재 다국적 제약회사들과 협상을 진행중인 상황에서 의약품 관세를 실행하기 위한 계획을 잠정적으로 중단했다”는 백악관 당국자의 발언을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의약품 ‘100% 관세’ 부과 계획 발표 이후 다국적 제약사들의 움직임은 분주하다. 화이자는 지난달 30일 미국내 신약 판매 가격 인하 및 700억 달러(98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화이자에 대해 ‘3년 관세 유예’를 약속했다.
화이자에 이어 다른 다국적 제약사들도 대미 투자, 대미 판매가 인하 등을 미측과 협상하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미국이 일단 의약품 관세 부과 일정을 늦추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