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아프가니스탄에 바그람 공군기지를 반환할 것을 요구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에 담긴 진의를 둘러싸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한쪽에서는 바그람 기지가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영향력을 막을 수 있는 미국의 전초기지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다른 한쪽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내년 중간선거를 앞두고 국내 정치세를 규합하기 위해 도박을 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 아프가니스탄 바그람 공군기지
미국은 2001년 9·11테러 이후 테러의 기획자인 오사마 빈라덴 알카에다 지도자가 아프간을 통치하는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세력 탈레반의 보호 아래 은신 중이란 점을 파악한 뒤 아프간을 공격했다. 미군은 이때부터 아프간 수도 카불에서 북쪽으로 47km 떨어진 곳에 있는 바그람 기지에 주둔해 왔다. 조 바이든 전임 대통령 시절인 2021년 미군이 이곳에서 철수할 때까지 아프간 내 핵심 거점으로 기능해 왔다. 한때는 미군 10만 명이 상주할 정도였다.
미군이 철수하기 직전인 2021년 6월 아프가니스탄 바그람 공군기지의 정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바그람 기지를 아프간을 통치하고 있는 탈레반으로부터 반환받겠다고 요구했다. AP 뉴시스●“중국 견제를 위한 전초 기지” 트럼프 대통령이 바그람 기지 반환을 요구하며 내건 이유는 중국 핵 시설과의 근접성이었다. 중국의 군사적 부상을 견제하기 위해선 바그람 기지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바그람 기지로부터 약 2000㎞ 떨어진 중국 서부 신장위구르자치구에는 롭 누르라는 중국의 핵실험장이 자리 잡고 있다. 중국은 이곳에서 1964년부터 1996년까지 45차례 핵실험을 실시했다.
핵실험이 30년 가까이 이뤄지지 않은 오래된 핵실험장에 트럼프 대통령이 관심을 갖는 건 2030년까지 중국이 현재 200개 수준의 핵무기를 1000개 이상으로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는 미 국방부의 분석이 있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자오 퉁 카네기 국제평화재단 선임연구원은 미 CBS뉴스에 “롭 누르에서 마지막 폭발 실험은 1996년 실시됐지만, 최근 몇 년간 중국이 해당 실험장을 계속 유지하고, 심지어 확장하고 있다는 징후가 있었다”라고 전했다. 자오 연구원은 롭 누르 실험장이 현재까지도 첨단 항공기, 미사일 시스템, 미사일 방어 기술, 항공우주 차량 등을 개발하는 데 쓰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20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아프가니스탄이 바그람 공군기지를 반환하지 않으면 나쁜 일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신화 뉴시스 ●“바그람 기지 반환은 정치적 제스처” 트럼프 대통령의 바그람 기지 반환 요구가 실제로는 대중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잇따른다. 미 외교안보매체 더디플로맷은 “트럼프 대통령의 바그람 탈환 공언은 국내 청중에게는 강경함을 과시하고, 바이든 전 대통령의 철군을 비판하며, 대(對)중국 결의를 드러내는 효과를 낸다. 실현 가능성은 미국 선거 주기 속에서 상징성만큼 중요하지 않다”라고 지적했다. 미국은 내년 중간선거를 앞두고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실제 반환보다는 그것이 가지는 정치적 상징성이 가져다줄 효과에 더 집중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미국은 이미 카타르에 알우데이드 공군기지, 아랍에미리트(UAE)에 알 다프라 공군기지 등 중동 주요 거점에 군대를 주둔시켜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바그람 기지의 반환 요구는 사실상 정치적 제스처에 가깝다는 것이다. 더욱이 더디플로맷은 “(바그람 기지 반환을 위해서는) 대규모 병력 재투입, 영구적 안전 보장, 아프간 저항 재점화 위험이 뒤따른다”라며 “정치적으로도 이란과의 관계를 더욱 긴장시키고, 탈레반을 자극하며, 중국과 러시아를 더욱 밀착시킬 공산이 크다”라고 분석했다.
더욱이 아프간을 통치하고 있는 탈레반이 이를 반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현 가능성에는 더욱 의문이 제기된다. 또 미국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FP)는 “바그람 기지 반환은 트럼프 행정부에 상당한 외교 정책의 승리를 가져올 수 있다”라면서도 “중국과 러시아는 미국의 바그람 기지 복귀를 지역 영향력에 대한 직접적인 도전으로 간주하여 탈레반이 이러한 움직임에 저항하도록 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지적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