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는 당단풍나무 추출물에서 식욕 억제 효능이 확인 됐다. 연구진은 천연 비만 치료제 개발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2023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담수생물자원 추출물 유래 기능성 플라보노이드 탐색 연구’를 통해 당단풍나무 추출물에 항비만 물질로 알려진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케르세틴(Quercetin) 성분이 상당히 함유 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케르세틴은 채소와 과일 등에 널리 분포하는 항산화 물질로, 염증을 완화하고 면역력을 강화하며 지방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에 따르면 외국에서 한국단풍나무라고도 부르는 당단풍나무 추출물을 뇌 시상하부 신경세포에 처리했을 때 식욕촉진 유전자(Nyp, Agrp) 발현을 60% 이상 억제했다. 반면 식욕억제 유전자(Pomc) 발현은 40% 이상 높아졌다.
연구진은 당단풍나무 추출물에 들어 있는 식욕 억제 유효 성분이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Quercetin-O-glucoside)과 구아이아베린(Guaiaverin; Quercetin 3-O-α-L-arabinoside)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이 유효성분이 시판된 한 비만치료제의 주성분인 리라글루티드(Liraglutide)와 동등한 효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이에 해당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 달 말 특허 출원했다고 덧붙였다.
강태훈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이용기술개발실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자생 식물자원을 활용한 천연 비만치료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준다”라며, “추가 연구를 통해 항비만용 천연물 제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