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번이 넘는 두경부암 수술을 이겨내고 턱걸이 챔피언이라는 타이틀을 얻게 된 김동호 씨(오른쪽)과 어머니.(서울아산병원 제공)
“치료의 고통이 저를 더 강하게 만들어준 것 같습니다. 고통을 겪고 계신 환우분들, 절대 포기하지 마시고 같이 파이팅합시다.”
입안과 턱, 목 쪽에 계속해서 암이 재발해 세상을 포기하려던 소년이 10번이 넘는 수술을 이겨내고 ‘턱걸이 챔피언’에 등극한 뒤 투병 중인 환우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했다.
7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운동을 통해 암을 극복해 보자는 마음가짐으로 시작해 턱걸이 챔피언에 오른 김동호 씨(23)의 이야기가 서울아산병원 유튜브 채널에 공개됐다.
김 씨는 7살 때 입안이 부어 충남 서산의 집 근처 병원을 방문했다. 원인을 모르겠다던 소아과, 치과를 거쳐 찾은 이비인후과에선 CT를 찍어보자고 했고 당장 큰 병원을 가보라고 했다.
입안을 붓게 만든 원인은 두경부 지방육종이었다. 두경부 지방육종은 지방세포에서 종양이 생기는 희귀암이다. 김 씨는 입과 목에 생긴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지만, 종양은 계속해서 재발했다.
특히 종양이 생긴 위치가 얼굴인 만큼 동호는 심리적으로 위축됐고 신경과 혈관이 특히 많은 위치라 수술 난도도 높았다. 한 번이면 끝날 줄 알았던 수술이 두 번, 세 번 이어지자 해당 병원에선 더 이상 치료가 불가능하다며 김 씨를 포기했다.
절벽 끝에 선 김 씨의 가족은 마지막 희망을 안고 지난 2014년 1월 서울아산병원을 찾았다. 반복된 수술로 동호의 얼굴은 많이 손상돼 있었고 마음마저 지친 상태였다.
고경남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종양혈액과 교수가 “꼭 도와주고 싶다”고 발 벗고 나섰고 이비인후과, 성형외과, 방사선종양학과 등 협진을 통해 동호는 수술과 항암,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하지만 김 씨의 입안 종양은 끈질기게 재발했고 커진 종양은 얼굴뼈를 밀어내 신경이 끊어져 얼굴 오른쪽에 마비가 오기도 했다.
김 씨는 끈질기게 재발하는 암 때문에 세상을 포기하려는 결심도 했다. 아파트 옥상까지 올라갔던 그때 간신히 마음을 다잡은 김 씨는 ‘운동을 통해 암을 극복해 보자’고 결심했다. 고교 1학년 때 체육 선생님의 조언을 떠올린 것이다.
김 씨는 방문에 철봉을 달아 하루에 한두 시간씩 매일 집에서 턱걸이 연습을 했다. 그는 무언가에 열중하는 것만으로도 기분전환이 됐다. 근력운동을 시작한 뒤 김 씨의 체격은 커졌고 마음마저 점차 회복됐다.
10번이 넘는 두경부암 수술을 이겨내고 턱걸이 챔피언이라는 타이틀을 얻게 된 김동호 씨.(본인 제공)
다행히 종양도 예전처럼 빠르고 크게 진행되지 않아 항암과 약물치료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았고 종양제거술만 매년 한 번 정도 받으면 될 정도로 호전됐다.
김 씨는 지난 2020년 7월 또 한 차례의 수술을 받기 전날 온라인 턱걸이 대회가 개최된다는 소식에 턱걸이 영상을 찍어 출전했다. 이튿날 수술이 끝난 김 씨에게 “턱걸이 대회에서 1등을 했다. 축하한다”는 전화가 걸려 왔다. 건장한 신체의 청년들과 대결한 턱걸이 대회에서 김 씨가 1위를 차지한 것이다.
얼굴의 종양 때문에 남의 시선을 두려워하던 김 씨가 이를 극복하고 턱걸이 챔피언이 된 희망적인 소식에 사람들의 응원과 칭찬의 댓글이 쏟아졌다. 김 씨는 자신의 이야기가 다른 질병을 앓고 있는 환우들에게 힘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 암을 이겨낸 투병 스토리를 적극적으로 알리기로 결심했다.
그는 “의료진들의 노고 속에서 무사히 자랐기 때문에 그만큼 제 목숨은 가치 있다고 생각한다”며 “저도 교수님들처럼 다른 사람을 위해서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는 사람이 되겠다”고 밝혔다.
고 교수는 “처음 병원에 왔을 때 힘들어하고 왜소했던 동호가 언젠가부터 진료실에 들어올 때마다 점점 더 건장한 청년이 돼 와서 매번 놀랐다”며 “반복되는 수술과 재발은 신체적으로도 고되지만 사실 심리적으로도 많이 위축되기 마련이다. 동호가 힘든 치료 과정을 이겨내고 턱걸이 챔피언까지 돼 진심으로 고맙고 존경스럽다”고 말했다.
서울아산병원은 병을 극복한 환우들의 투병기를 통해 희망을 나누는 ‘리얼스토리-희망을 나눕니다’ 캠페인을 지난 2013년부터 진행하고 있다. 지난 12년간 35명의 환우가 ‘리얼스토리’를 통해 본인의 투병 이야기를 기부하며 희망을 나누고 있다. 캠페인은 서울아산병원 유튜브, 인스타그램, 뉴스룸 등 다양한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