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환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 박노정 UNIST 물리학과 교수, 김범섭 UNIST 물리학 박사(현 미국 펜실베니아대 박사후연구원).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아인슈타인이 내놓은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을 잇는 ‘미싱링크’ 역할을 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아인슈타인은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라고 이야기할 만큼 양자역학의 확률론적 사고를 비판했던 대표적인 학자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그의 상대성이론은 양자 중 하나인 전자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이론이 됐다.
단,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은 전제가 달라 일관된 설명이 어려운 부분이 있었는데 이번에 국내 연구진이 두 이론을 연결하는 새로운 이론을 발견한 것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8일 박노정 물리학과 교수와 김경환 교수팀이 전자의 ‘스핀’을 고체 속에서 더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을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 6월 27일자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전자에는 ‘스핀’과 ‘궤도각운동량’이라는 두 가지 형태의 회전이 있다. 스핀이 지구의 자전이라면 궤도각운동량은 태양을 도는 공전에 해당한다. 스핀과 궤도각운동량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스핀-궤도 결합’을 통해 물질의 자성이나 전도성 등을 결정한다.
문제는 스핀-궤도 결합이 물질의 상태에 따라 상대성이론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경우도 있고, 양자역학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경우도 있다는 점이다. 두 이론이 서로 다른 전제를 갖고 있어 스핀-궤도 결합을 하나의 방정식 안에서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반도체, 고체 등에서는 궤도각운동량을 정의하는 것조차 어려웠다.
연구팀은 궤도각운동량을 쓰지 않고 물질 내 스핀-궤도 결합을 설명할 수 있는 ‘스핀-격자 상호작용’이라는 새로운 개념과 이론을 제안했다. 연구진은 이 새로운 계산법을 1차원 도체(백금 사슬), 2차원 부도체(질화붕소), 3차원 반도체(갈륨비소) 등 다양한 물질에 적용해 봤다. 그 결과 스핀 분포, 스핀 전류, 자기 반응 등을 기존 방식보다 더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예측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향후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소자 등의 설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반도체 내 전자의 움직임을 정확히 측정해야 반도체 설계 단계에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공동연구팀은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 사이의 간극에서 비롯되던 계산적 비일관성을 해소한 방식”이라며 “향후 스핀 기반 전자 소자 설계에 기초 이론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