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내부 사진 유출, 개인정보 털린다”…중국 로봇청소기 보안 취약

  • 뉴스1

코멘트

KISA·소비자원 보안실태 점검…사업자 즉시 개선 조치
삼성 비스포크AI·LG 코드제로AI 제품 보안부문 상대적 우수

KISA 한국소비자원 한국 시장 유통 주요 로봇청소기 6종 보안 실태 전수조사 결과. KISA 제공
KISA 한국소비자원 한국 시장 유통 주요 로봇청소기 6종 보안 실태 전수조사 결과. KISA 제공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한국소비자원이 한국 시장에 유통 중인 주요 로봇청소기 6종의 보안 실태를 전수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3종)에서 사생활 침해와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ISA·소비자원은 모바일앱 보안·보안 정책 관리·기기 보안 등 3분야에 걸쳐 총 40개 항목을 점검한 결과를 2일 발표했다.

모바일앱 보안 점검 결과 △나르왈 △드리미 △에코백스 3개 제품 경우 사용자 인증 절차가 미비해 집 내부 사진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카메라 기능이 강제 활성화될 수 있는 위험성이 드러났다.

정책 관리 부문에서는 드리미 제품의 개인정보 관리가 미흡해 이름·연락처 등의 유출 우려가 확인됐다. 해당 취약점은 사업자에게 즉시 개선 조치를 요구해 현재 보완이 이뤄졌다.

기기 보안 점검에서는 드리미와 에코백스 2개 제품의 하드웨어 보안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아울러 펌웨어 보안 설정 또한 충분하지 않아 내부 구조가 외부에 노출될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삼성전자와 LG전자 제품은 △접근 권한 관리 △불법 조작 방지 △안전한 패스워드 정책 △업데이트 정책 등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KISA·소비자원은 모든 조사 대상 사업자에게 모바일앱 인증 절차 강화, 하드웨어 및 펌웨어 보완 등 보안성 개선을 권고했다.

해당 사업자들은 품질 개선 계획을 회신했다.

KISA·소비자원 소비자들에게도 안전한 비밀번호 설정과 주기적 보안 업데이트 등 기본적인 보안 수칙 준수의 중요성을 당부했다.

양기관은 앞으로도 협력해 로봇청소기 등 사물인터넷(IoT) 제품의 보안 점검을 지속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정책적·기술적 협력도 확대할 방침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