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이 되면 등산, 캠핑, 벌초, 성묘 등 야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진드기 매개 감염병 위험도 함께 증가한다. 그중 특히 주의해야 할 질환 중 하나가 ‘쓰쓰가무시병’이다.
쓰쓰가무시병은 진드기 유충(오리엔티아 쓰쓰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급성 발열성 감염병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매년 약 6000명의 환자가 발생하며 주로 가을철인 9월부터 11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최근에는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로 털진드기 활동 시기가 길어지면서 발생 기간 역시 확대되는 추세다.
주요 증상은 발열, 두통, 근육통, 피부 발진 등으로 초기에는 감기와 유사해 보인다. 특징으로는 진드기에 물린 부위에 ‘가피(검은 딱지)’가 나타난다. 치명률은 높지 않으나 치료가 지연될 경우 폐렴, 급성신부전, 뇌수막염 등 중증 합병증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고령자나 당뇨·심혈관질환 등 기저질환을 가진 환자는 특히 위험하다. 실제 국내에서도 치료가 늦어져 사망에 이른 사례가 보고된 바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쓰쓰가무시병은 현재까지 예방 백신이 없다. 따라서 개인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예방 수칙은 △긴 소매 상의, 긴 바지, 장갑, 모자 등 착용으로 피부 노출 최소화 △진드기 확인이 용이한 밝은색 옷 착용 △풀밭에 직접 앉거나 눕지 않고 반드시 돗자리 사용 △야외 활동 후 착용한 옷은 바로 털어서 세탁 △귀가 후 바로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몸, 특히 피부가 접히는 무릎 뒤, 사타구니, 귀 뒤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확인 △야외 활동 시에는 옷이나 노출 피부에 진드기 기피제 사용 등이다.
최재기 부천성모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쓰쓰가무시병은 초기 증상이 감기와 유사해 쉽게 간과할 수 있다”며 “진드기에 물린 부위에 가피가 생기고 발열이 계속된다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항생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치료가 늦을 경우 합병증이나 사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가벼운 증상이라도 방치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다만 모든 진드기가 쓰쓰가무시 병원체를 보균하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진드기에 물렸지만 발열, 근육통 등의 전신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의료기관 방문 없이 경과를 관찰해도 무방하다”고 설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