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과 절벽 그리고 계곡[정덕현의 그 영화 이 대사]〈36〉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12월 17일 22시 54분


코멘트
“정상이 있으면 계곡도 있어.”

―신연식 ‘1승’


한때 촉망받던 배구선수였지만 현재는 망해가는 어린이 배구 교실을 운영하는 김우진(송강호). 그는 해체 직전에 놓인 여자배구단 핑크스톰의 감독직을 맡게 된다. 뭐 하나 제대로 해놓은 게 없는 김우진이 이 배구단의 감독이 된 건 새로운 재벌 2세 구단주 강정원(박정민) 때문이다. 결과가 아니라 과정의 스토리, 특히 ‘루저들의 성장 서사’에 꽂힌 이 이상한 인물은 핑크스톰이 1승을 하면 상금 20억 원을 풀겠다는 파격 공약까지 내건다. 김우진은 적당히 감독 노릇을 하다가 그 이력으로 대학팀 감독으로 갈 꿈을 꾸고, 지는 게 익숙한 선수들도 패배 의식에 빠져든다. 예상대로의 연전연패를 거듭하지만 그러면서 김우진은 의외로 점점 멋진 1승을 하고픈 욕망을 갖게 된다.

신연식 감독의 영화 ‘1승’은 배구를 소재로 다뤘지만 여러모로 권투를 소재로 한 영화 ‘록키’에 대한 오마주가 엿보이는 작품이다. 뒷골목 복서였던 록키 발보아(실베스터 스탤론)가 갖게 된 세계 챔피언과의 대결 기회. 결국 록키는 패배하지만 멋진 경기로 관객들의 응원을 받는다. ‘1승’은 ‘록키’의 서사를 거론하기도 하고 그 음악을 활용하기도 하면서 핑크스톰이 펼치는 단 한 번의 짜릿한 명승부를 그려낸다.

“정상이 있으면 계곡도 있어. 정상 아래는 절벽이 아니라 계곡이야. 계곡을 걷다 보면 정상도 나온다.” 스포츠 영화들이 대부분 그러하지만 ‘1승’ 역시 스포츠를 통해 삶을 이야기한다. 늘 정상만 있다고 여기고 거기에 도달하지 못하면 절벽 끝이라 여기는 세태에 이 작품은 그 아래에 있는 계곡을 보라고 말한다. 그 계곡에서의 삶 또한 소중한 것이고, 거기서 저마다의 ‘1승’을 하다 보면 정상에도 갈 수 있다는 것. 승리 아니면 실패라 말하곤 하는 현실을 되돌아보게 하는 작품이다.

#신연식#1승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