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래: 사기(史記) 노주공세가(魯周公世家)와 한시외전(韓詩外傳)에서 유래한 성어입니다. 주(周)나라 무왕(武王)이 폭군 주왕(紂王)이 다스리던 은(殷)나라를 멸망시키고 정국을 안정시켜 가던 중 병으로 죽게 되자, 어린 아들 성왕(成王)이 제위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이때 가까운 신하들이 반란을 일으키는 등 나라가 어수선하게 되자, 무왕의 아우이자 성왕의 삼촌인 주공단(周公旦)이 어린 조카를 대신하여 섭정(攝政)을 하였습니다. 주공은 제도를 정비하고 왕실의 친족과 공신들을 중원의 요지에 배치해 다스리게 하는 봉건제를 실시하여 주왕실의 방비를 굳건하게 하였습니다. 주공의 아들 백금(伯禽)도 노(魯)나라 땅에 봉해져 떠나게 됐습니다. 이에 주공은 아들에게 “나는 한 번 씻을 때 세 번 머리를 거머쥐고(一沐三握髮·일목삼악발), 한 번 먹을 때 세 번 음식을 뱉으면서(一飯三吐哺·일반삼토포)까지 천하의 현명한 사람들을 놓치지 않으려고 했다”라고 훈계합니다. 또한 아들에게 나라를 위해 정무(政務)를 잘 보살피려면 잠시도 편히 쉴 틈이 없다는 것과 훌륭한 인물을 얻기 위해서는 자신을 낮추고 겸손할 것을 당부하였습니다.
● 생각거리: 국가나 기업의 미래도 능력 있는 인재를 적재적소(適材適所)에 배치하는 데 달려 있습니다.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세상에 훌륭한 인재를 발굴하기 위해서는 ‘토포악발(吐哺握發)’하며 인재를 구한 주공(周公)을 본받아야 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