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과 놀자!/디지털 세상과 정보]인공지능 시대, 인간의 경쟁력은 ‘AI 문해력’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6월 30일 23시 09분


코멘트

인공지능의 작동 방식 이해 필요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요청하고
윤리적 판단력 유념해 사용해야
요청할 때마다 새로운 이미지 생성… 기존 이미지에서 추가 수정 불가능

챗GPT가 등장하면서 텍스트와 이미지, 음성, 동영상을 손쉽게 만들어 낼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새 기술을 적재적소에 활용하려면 인공지능의 원리를 이해하고,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요청하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술이 필요하다. 게티이미지코리아
챗GPT가 등장하면서 텍스트와 이미지, 음성, 동영상을 손쉽게 만들어 낼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새 기술을 적재적소에 활용하려면 인공지능의 원리를 이해하고,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요청하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술이 필요하다. 게티이미지코리아
최근 인터넷에서 인기를 끈 ‘지브리 스타일 그림 만들기’를 해본 적이 있나요? 챗GPT에 사진 한 장만 올리면 마치 스튜디오 지브리 애니메이션에 나올 법한 아름다운 그림으로 바꿔주는 신기한 기술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경험을 했을 거예요. “엄마의 키가 너무 작게 나왔어. 좀 더 크게 해줄래?”라고 요청했더니 아예 다른 그림이 나와버려 당황스러운 순간 말이에요.

● 인공지능은 어떻게 그림을 그릴까

인공지능이 그림을 만드는 과정은 마치 요리사가 음식을 만드는 과정과 비슷해요. 요리사는 레시피를 보고 재료를 준비한 후, 단계별로 요리를 완성합니다. 인공지능도 마찬가지로 수많은 그림 데이터를 학습하고, 우리가 주는 요청(프롬프트)을 분석한 다음,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해 냅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점이 있어요. 인공지능은 기존 이미지를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매번 새로 만들어 내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마치 요리사가 이미 완성된 음식에 간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아예 새로운 음식을 처음부터 다시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

‘엄마를 좀 더 크게 그려줘’라는 간단한 요청이 어려운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인공지능 생성 과정을 보면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은 우리의 요청을 받으면 ‘무작위성(랜덤함)’을 포함해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이 무작위성 때문에 같은 요청을 해도 매번 조금씩 다른 결과가 나와요. 마치 주사위를 던질 때마다 다른 숫자가 나오는 것처럼 말이에요.

더 중요한 것은 인공지능이 이미지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생성한다는 점입니다. “엄마를 크게 해줘”라는 요청을 받으면 엄마 부분만 늘리는 것이 아니라 전체 그림의 균형과 조화를 고려해서 완전히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 냅니다. 그 과정에서 다른 요소들도 함께 바뀌게 되는 거죠.

실제 그림을 그리는 화가나 디자이너를 생각해 보세요. 현실 속 진짜 전문가는 처음부터 멋진 작품을 만들어 낼 뿐만 아니라 고객의 요청에 따라 세밀하게 수정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웹툰 작가가 캐릭터를 그렸는데 편집자가 “주인공의 눈을 좀 더 크게 그려 달라”고 요청한다면 작가는 눈 부분만 정교하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전체 그림을 다시 그릴 필요가 없죠. 하지만 현재의 인공지능은 이런 ‘부분 수정’ 능력이 제한적입니다.

건축가도 마찬가지예요. 건물 설계도에서 ‘창문 크기만 바꿔 달라’는 요청을 받으면 전체 건물을 다시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부분만 정확히 수정할 수 있어야 진정한 전문가라고 할 수 있어요.

● ‘인공지능 문해력’과 ‘창의력’ 중요

챗GPT가 등장한 이후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는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제 텍스트만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 음성 심지어 동영상까지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음성 생성 인공지능은 사람 목소리를 학습해서 자연스러운 음성으로 텍스트를 읽어주고, 동영상 생성 인공지능은 짧은 설명만으로도 영화 같은 영상을 만들어 냅니다.

이런 기술들이 모여서 ‘지능형 마이크로 서비스’라는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어요. 기업들은 이런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서 고객 서비스를 더욱 똑똑하게 만들어요. 정부도 시민들에게 더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우리 일상 곳곳에서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게 되는 시대가 온 거예요.

인공지능 시대에 우리는 어떤 능력을 키워야 할까요? 우선 ‘인공지능 리터러시(문해력)’가 중요합니다. 인공지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무엇을 잘하고 무엇을 못 하는지 이해하는 능력이에요. 인공지능으로 지브리풍 그림을 만드는 과정에서 그림 수정이 어려운 이유를 이해했다면 여러분은 이미 인공지능 리터러시의 첫걸음을 뗀 것입니다.

두 번째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능력입니다. 인공지능에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요청하는 기술이에요. “예쁘게 그려줘”보다는 “따뜻한 햇살이 비치는 공원에서 빨간 원피스를 입은 소녀가 웃고 있는 모습을 수채화 스타일로 그려줘”처럼 구체적으로 요청해야 원하는 결과를 만들어 내기 쉽습니다.

세 번째는 ‘창의적 사고력’입니다. 인공지능은 기존 데이터를 바탕으로 결과물을 만들어 낼 뿐 정말 새로운 아이디어나 창의적인 접근은 여전히 사람 몫이에요. 인공지능을 도구로 활용해서 더 멋진 창작물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윤리적 판단력’도 필요해요. 인공지능이 만든 콘텐츠를 어떻게 사용할지,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는 않을지 생각할 수 있는 능력 말이에요.

인공지능은 완벽하지 않아요. 지브리 그림에서 수정이 어려운 것처럼 아직 많은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욱 흥미로워요. 우리가 인공지능을 이해하고 잘 활용할수록 더 멋진 미래를 만들어 갈 수 있거든요. 여러분도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새로운 시대의 주인공이 될 준비가 되셨나요. 호기심을 갖고 도전해 보세요.

#인공지능#AI#인공지능 리터러시#AI 문해력#창의적 사고력#윤리적 판단력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