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층 창의력, 양자컴 승패 갈라… 아이디어 이끌 기초학문 투자를”

  • 동아일보

코멘트

스타논문으로 양자컴퓨터 개발 불붙인 리처드 조사 교수
‘양자퀀텀위크’ 콘퍼런스 위해 방한
“수학 강한 韓, 양자이론 기여 기대”

“한국에는 우수한 수학 실력을 가진 학생들이 많고 교육 과정도 훌륭합니다. 양자 이론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7일 인천 연수구 연세대 국제캠퍼스에서 열린 ‘양자퀀텀위크’ 콘퍼런스 참석차 방한한 리처드 조사 영국 케임브리지대 응용수학 및 이론물리학과 교수(72·사진)는 본보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양자컴퓨터가 빠르게 개발되는 지금 같은 때에 기초 학문 투자를 놓치면 안 된다”며 “순수 학문을 놓치면 향후 양자컴퓨터 개발에서 위기를 맞닥뜨렸을 때 학문적 아이디어가 부족한 상황에 놓일 것”이라고 했다.

조사 교수는 본격적인 양자 시대를 연 것으로 평가되는 석학이다. 그는 양자컴퓨터의 기본 계산 원리를 수학적으로 증명한 ‘도이치-조사 알고리즘’을 1992년 영국왕립학회저널에 발표했다. 이 논문은 현재까지 4000회 이상 인용된 양자학계의 ‘스타 논문’이다. 해당 논문을 기반으로 현재 암호체계를 무너뜨릴 수 있는 양자 알고리즘인 ‘쇼어 알고리즘’ 등이 등장하면서 양자컴퓨터 개발이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다.

IBM, 구글 등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양자컴퓨터 개발에 뛰어들면서 전문가들은 양자컴퓨터 상용화 시기를 앞으로 5∼10년 후로 보고 있다. 조사 교수는 “양자컴퓨터의 상용화를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면서도 “그 전에 양자컴퓨터와 기존 컴퓨터가 결합한 ‘하이브리드 컴퓨터’를 먼저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양자컴퓨터 전 단계인 하이브리드 컴퓨터 개발을 서두르는 이유는 산업계에 미칠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현 단계의 양자컴퓨터는 연산 시간이 짧고 오류가 많아 쓰임이 제한적이다. 기존 컴퓨터와 연결해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면 보다 빨리 산업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조사 교수는 양자컴퓨터를 활용하면 여러 산업 분야 중에서도 특히 의학에서 큰 혁신이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양자컴퓨터의 핵심은 분자 이하 단위의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조사 교수는 “분자의 움직임이나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하는 시뮬레이션은 너무 복잡해 기존 컴퓨터는 계산이 불가능하지만, 양자컴퓨터는 쉽게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세대는 이런 이점을 보고 국내 최초로 IBM의 양자컴퓨터 ‘시스템 원’을 도입하고 바이오에 특화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조사 교수는 “아직 양자에 발을 들이지 않은 젊은이들의 두뇌와 창의력이 결국 이 분야의 승패를 결정할 것”이라며 “양자 문해력을 높여 인재들이 자연스럽게 양자를 접하고 배울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타논문#양자컴퓨터#리처드 조사 교수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