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답변을 하고 있는 앤디 김 미국 상원의원.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한국계 첫 미국 상원의원인 앤디 김 의원(43·민주·뉴저지)이 “현재 부족한 미국의 조선업 역량을 한국과의 협력을 통해 빠르게 보완할 수 있다”며 “한미 정상회담 이후 의회 차원에서도 (미국 조선업) 규제 완화와 투자 지원에 속도를 낼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20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간담회를 갖고 “조선업은 (한미) 양국이 윈윈할 수 있는 대표적인 분야”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이번 정상회담은 한미 관계와 경제 안보를 재확인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정상회담을 통해 협력 목표가 구체화되고 이에 기반한 입법 및 정책 추진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의원은 태미 더크워스 미 상원의원과 함께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의회 차원의 양국 간 조선업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18일부터 방한했다.
김 의원은 미국 조선업 보호를 위해 제정된 ‘존스법(Jones Act)’ 등 선박 규제를 완화해달라는 한국 조선업계 요청에 대해선 “지금은 미국이 필요한 선박 수 목표치와 어떤 분야에 필요한지를 명확히 하는 게 우선”이라며 “투자와 관련해선 한국이 내놓을 투자 계획과 이들이 어떤 역할을 하고, 전략은 무엇인지, 장애물은 무엇인지 분명하게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조선업 지원과 관련해 “진전이 가능한 부분부터 진행 중”이라면서 “일단 정상회담 결과와 투자 계획이 확실해져야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정상회담 결과를 보고 나서 의회가 즉시 필요한 조치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중국이 한미 조선업 협력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에 반발하는 데 대해선 “중국의 경고는 한미 협력의 중요성을 확인해 주는 것”이라며 “중국의 어떤 위협적인 언사에도 한미 관계 발전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통령이 방미 전 일본을 먼저 방문해 정상회담을 하겠다는 결정은 매우 전략적이고 탁월하다”며 한미일 3자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3자 협력이 지역 안보와 경제 협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면서 “3자 정상회담을 추진하고 (한미일) 국회 차원의 협력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라고도 밝혔다.
김 의원은 트럼프 행정부에서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이 나오는 데 대해선 “미군 감축은 한국과의 긴밀한 협의와 투명한 소통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군의 한반도 주둔에 대해선 미 의회에 강력한 초당적 지지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며 “확장 억제를 제공하고 한반도 안보를 보장해야 한다는 점을 트럼프 행정부에 강력히 전달했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