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수습 유해 등 美서 신원 확인
‘전사한 곳서 안장’ 명예로 여겨
유엔공원 안장-본국 송환 협의
21일 서울 동작구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내 신원확인센터 앞에서 6·25전쟁 당시 유엔군으로 참전했다가 전사한 튀르키예군 유해 4위의 인수식이 열리고 있다. 국방부 제공
우리 군이 6·25전쟁 당시 유엔군으로 대한민국을 위해 싸우다 전사한 튀르키예군 유해 4위를 인수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21일 국유단 신원확인센터 앞에 마련된 야외 행사장에서 유엔군사령부로부터 튀르키예군 유해 인수식을 거행했다고 밝혔다.
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은 14일 정밀 감식을 거쳐 보관 중이던 튀르키예군 유해를 수송기를 통해 하와이 히캄 공군기지에서 경기 오산 공군기지로 운송해 유엔사로 인도했다. 유엔사에서는 유해들을 캠프 험프리스(경기 평택 미군기지) 내 미8군 영현소에 임시 보관해 왔다.
튀르키예 유해 4위는 미 DPAA가 1996∼2005년 북한 지역에서 수습한 유해 3위, 1984년부터 추진 중인 하와이 국립 태평양 기념 묘지(펀치볼) 재개장 과정에서 확인된 유해 1위다. 튀르키예군은 ‘전사한 장소가 곧 순교의 땅’이란 전통에 따라 타국일지라도 전사한 곳에 묻히는 것을 명예로 여긴다고 한다.
유해들은 국내에서 최종 정밀 감식을 받은 뒤 주한 튀르키예 대사관과의 협의를 거쳐 부산 유엔기념공원에 안장되거나 본국으로 송환될 예정이라고 국유단은 설명했다. 국유단 관계자는 “튀르키예 전사자들을 최고의 예를 다해서 모실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