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을 믿지 않더라도 지금까지 쌓아 온 지식을 믿어 보세요. 언젠가 반드시 쓰일 기회가 올 겁니다.”
갈색 머리의 외국인 교수는 연단에서 졸업생들을 향해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 배웠던 중국어가 지금은 판소리 사설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며 이렇게 말했다.
28일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열린 제79회 후기 학위수여식에서 안나 예이츠 서울대 국악과 부교수(사진)가 축사 연사를 맡았다. 독일 태생인 그는 2020년 최연소 서울대 국악과 조교수로 임명돼 학생들에게 판소리를 가르치고 있다. 예이츠 교수는 “성공이란 하나의 형태로 정해져 있지 않다”며 “각자가 좋아하는 일을 발견해 발전시킨다면 행복하고 성공적인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졸업생들을 격려했다. 예이츠 교수는 스코틀랜드 세인트앤드루스대에서 인류학을 전공한 뒤 대만에서 중국어를 익히며 K팝의 세계적 인기를 체감했다고 한다. 이를 계기로 런던대 아시아·아프리카 석사과정에서 대중음악과 문화정책을 연구했고, 이후 판소리에 매료돼 인류음악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내 인생은 우연의 연속”이라며 “그 당시엔 몰랐어도 결국 모든 단계가 다음 단계를 위한 준비였던 것 같다”고 했다.
졸업생 대표 연설은 인문대 서양사학과 21학번 김주안 씨가 맡았다. 기초학문 연구에 매진하면서도 국제교류와 사회공헌 활동에도 힘쓴 그는 학부생 연구지원 프로그램 최우수상을 받았다. 서울대는 이날 학사 1015명, 석사 1304명, 박사 700명 등 총 3019명에게 학위를 수여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