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일준 삼부토건 회장(사진 왼쪽)과 조성옥 전 삼부토건 회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김건희 특검(특별검사 민중기) 조사를 받기 위해 지난달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특검 사무실로 출석하고 있다. 2025.7.10/뉴스1 ⓒ News1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을 수사 중인 김건희 특검(특별검사 민중기)이 삼부토건 이일준 회장과 조성옥 전 회장이 ‘우크라이나 테마주’를 앞세워 주가조작을 하는 과정에서 사전 동의부터 사후 승낙까지 모두 관여했다고 판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부토건 안팎에서 ‘그림자 실세’로 불리는 이기훈 부회장(도주 중)이 제안한 주가조작 작전에 전현직 회장 모두 동참했다는 뜻이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은 자본시장법 위반 등의 혐의로 이 회장과 이응근 전 대표를 1일 구속기소하면서 이 부회장, 조 전 회장, 정창래·신규철 전 대표 등 삼부토건 전·현직 임원 4명을 공범으로 적시했다.
특검은 이들이 2023년 5, 6월 삼부토건이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참여하는 것처럼 허위 보도자료를 총 5차례 배포해 주가를 인위적으로 끌어올린 뒤 보유 주식을 매도해 369억 원의 부당이득을 챙겼다고 보고 있다.
특검은 이 부회장이 2022년 6월 부산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세미나’ 개최 사실을 인지한 뒤, 세미나에 참석하고 이 내용을 언론에 홍보해 “삼부토건을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테마주로 인식시키자”고 이 회장과 조 전 회장에게 제안했고, 두 사람은 이에 동의했다고 판단했다.
이후 이 회장이 실질적으로 소유한 디와이디(DYD)는 6월 23일 ‘삼부토건이 세미나 주최 측인 유라시아경제인협회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는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협회가 해당 MOU가 허위라고 항의하자 이 부회장은 이 회장과 조 전 회장의 승낙을 얻어 같은 달 28일 삼부토건과 DYD가 협회에 각각 3000만 원씩 후원금을 지급하게 하고 뒤늦게 MOU를 체결했다는 것이 특검의 판단이다.
앞서 특검은 지난달 14일 이 회장, 이 부회장, 조 전 회장, 이 전 대표 등 4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고, 서울중앙지법 같은 달 18일 이 회장과 이 전 대표에 대해서만 영장을 발부했다.
삼부토건 주가조작의 ‘총괄 기획자’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진 이 부회장은 영장실질심사를 앞두고 잠적해 현재 지명수배된 상태다. 법원은 조 전 회장의 경우 “공모관계 소명이 부족하다”며 영장을 기각한 바 있다.
특검은 최근까지 조 전 회장에 대한 추가 구속영장 청구를 검토하면서 삼부토건 주가조작 과정에서 그의 가담 정도를 집중 수사해왔다. 공소장에 조 전 회장을 공범으로 적시한 만큼 특검이 조만간 구속영장을 추가 청구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다만 이번 공소장에는 김건희 여사,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의 이름은 언급되지 않았다. 특검은 김 여사의 계좌를 관리한 인물로 알려진 이종호 전 대표가 2023년 5월 한 단체 대화방에서 “삼부 내일 체크하고”라고 메시지를 남긴 정황, 원 전 장관이 삼부토건이 홍보한 2023년 5월 우크라이나 포럼에 직접 참석한 점 등을 토대로 김 여사의 개입 가능성을 수사해왔다.
하지만 특검의 ‘1호 기소’ 사건으로 불리는 이번 삼부토건 사건 공소장에 김 여사 관련 정황이 담기지 않으면서 특검이 향후 추가 수사를 통해 김 여사 연루 여부를 규명하는 것에 집중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