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모두 발언하고 있다. 2025.5.25/뉴스1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25일 “대립과 갈등의 정치가 만들어낼 악순환의 고리, 반드시 끊겠다”며 국민통합을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날 중앙당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 모두발언을 통해 “이번 대선은 단순한 정권 교체가 아니다.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을 바로 세우는 선거다. IMF위기에 버금가는 국난을 극복할 수 있느냐를 결정할 선거다. ‘분열과 갈등의 시대’를 끝내고 ‘통합의 시대’를 여는 전환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 국민은 하나일 때 가장 강하고 위대했다. 하지만 지난 3년 동안 대통령이 오히려 분열을 조장하고 극단적 대립을 심화시킨 결과, 지금껏 우리에게는 씻지 못할 깊은 상처가 남아 있다. 서로를 미워하고 제거하려는 정치를 끝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념과 진영을 넘어 상대를 인정하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공존과 소통의 문화를 되살리는 것이 내란이 파괴한 민주주의를 복원하는 지름길”이라며 “대한민국 체제와 국민 생명을 위협한 내란 세력의 죄는 단호하게 벌하되, 특정인을 겨냥해 과녁으로 삼는 정치 보복은 결단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국민이 잘 살고 경제가 성장하는 진짜 대한민국을 만드는 것이 그들을 이기는 길이라 여긴다. 더 이상 국민이 갈등과 반목 없이 통합으로 힘을 모아야만, 대한민국이 이 격변의 시기를 슬기롭게 넘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국민의 선택을 받게 된다면 가장 먼저 대통령이 지휘하는 ‘비상경제대응 TF’를 구성하겠다”며 “즉시 실행 가능한 민생경제 대책을 신속히 마련해 ‘불황과의 일전’을 치른다는 일념으로 내수 침체에 적극 대응하겠다. 국가 재정이 마중물이 되어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되살리고, 국민 삶의 버팀목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공약했다.
또 “평화가 곧 경제고, 문화가 곧 경제”라며 “굳건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한 국익 중심 실용외교로 외교의 지평을 넓히겠다. 세계적 경쟁 속에서 K-콘텐츠를 비롯한 모든 분야에서 세계를 주도할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경제를 살릴 수 있다면, 국민을 위한 일이라면, 이념과 진영을 가리지 않고 실행하겠다. 이재명 정부의 유일한 인사 기준은 ‘능력’이 될 것”이라며 “주요 공직자 국민추천제를 활성화해서 국민이 추천한 인재가 국민을 위해 봉사하도록 하겠다”고 공약했다.
끝으로 이 후보는 “이번 대선의 주인공은 이재명이 아니라 주권자인 여러분이다. 정치는 정치인이 하는 것처럼 보여도 결국 국민이 하는 것이기 때문”이라며 “변화를 바라신다면, 꿈과 희망이 넘치는 나라를 원하신다면 반드시 투표해 달라”고 지지를 호소했다.
기자간담회 이후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이 후보는 “추경을 당연히 검토해야 한다. 단기적인 경기 부양이 필요한 상태”라며 “추가 경정을 통해 당장 급한 불을 꺼야 할 것 같다. 산업 지원을 위한 추경은 지금 당장은 어려울 것 같고 일단 골목상권과 민생의 어려움을 덜기 위한 추경에 집중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최근 밝힌 ‘대통령 4년 연임제’ 개헌 문제에 대해선 “재임 중 대통령에 적용하지 않는다고 헌법에 쓰여 있다”며 “의심을 거둬 달라”고 했다.
앞서 이 후보는 18일 페이스북에 ‘임기 단축 없는 대통령 4년 연임제’를 개헌안으로 제시했다. 지난 20대 대선 당시 ‘4년 중임제’를 공약으로 내걸었으나 이번엔 ‘연임제’로 내용을 수정한 것이다. 헌법상 대통령 임기 연장·중임 변경을 위한 개헌은 재임 대통령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그는 “헌법을 개정하면 그 조항도 바꾼 것이기 때문에 개정된 헌법에 따르는 게 국민 주권주의에 맞다. 학계에서는 적용이 없다고 하지만 정치 도의상 그렇게 헌법에 써져있는데 어떻게 쉽게 어기겠나. 저는 당연히 국민 뜻에 따라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개헌 로드맵에 대해서는 국민투표법을 개정해 개헌 발판을 마련하거나, 각 당 대선 후보들이 개헌 공약을 제시한 뒤 집권에 성공한 사람이 이를 이행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대통령 4년 연임제, 국무총리 국회 추천제는 크게 이론 없이 (국민의힘과) 합의가 가능할 것 같다. 그러나 국민투표법을 개정하지 못하게 돼서 개헌 투표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서 더 이상 진척이 안 됐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따라서 가능한 대안은 대선후보가 모두 개헌안을 공약하고 그 공약을 당선되는 사람이 제안하면 된다. 그래서 공약의 일환으로 좀 늦긴 했지만 (개헌안을) 발표하게 됐다”고 했다.
제도 개혁, 사법·검찰 개혁에 대한 질문에는 “여기에 주력해서 힘을 뺄 상황은 아니다. 지금은 모든 에너지를 초기에 경제·민생 회복에 둬야 한다”며 “국민들이 너무 분열되고 대립 갈등을 겪고 있기 때문에 난국을 타개해야 하는데 급하지 않은 갈등적 상황에 집중하면 에너지 모으기 쉽지 않아 사회 통합이 어렵다. 갈등적 요소가 적은, 시급한 국민 민생과 관련된 사안에 우선 집중하겠다. 사법 개혁 문제는 거기에 속하지 않는 거 같다”고 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의 단일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결국 ‘내란 단일화’에 나설 것”이라며 “이준석 후보도 국민의힘 대표를 했고 (당내 경쟁에서) 밀려나왔을 뿐이지 스스로 나왔다고 보기 어렵다. 결국은 다시 합쳐서 보수 정당의 주도권을 갖고 싶어하는 것 같고 이번 기회에 본색대로 단일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후보는 “경제 문제를 이념적으로 갈라치기 한다든지 정책을 아무데나 대고 친중으로 몬다든지 극우 색깔이 (이준석 후보에게서) 관찰되고 있다.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고 여러 측면을 보면 색깔이 거의 비슷하다”며 “결국은 단일화 할 것이고 우리는 당연히 단일화 할 것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