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13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국민의힘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있다. 장승윤 기자 tomato99@donga.com
국민의힘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13일 “탄핵의 바다를 건너지 못하고 있는데도 사과와 반성이 필요없다고 말하는 분들, 탄핵의 바닷속으로 머리를 눌러 넣고 있는 분들이 인적쇄신 0순위”라며 “이런 분들은 당을 떠나야 한다”고 밝혔다. 인적쇄신 기준을 내놓으며 강조한 발언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단절에 미온적인 구주류를 우선 겨냥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윤 위원장은 이날 오후 기자간담회를 열고 “당이 여기까지 오게 한 분들이 개별적으로 사과해야 한다”며 “그게 새로워지겠다는 당 쇄신의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사과는커녕 당이 새로워지겠다는 것을 가로막는 이런 분들 믿고 (윤석열 전) 대통령이 계엄을 했을 것”이라고 했다.
윤 위원장은 특히 ‘당원들을 절망과 수치심에 빠지게 한 8가지 사건’을 지목하며 여기에 연루된 인사 모두가 인적 쇄신 대상이자 사과 대상이라고 강조했다. 8가지 사건은 △대선 패배 △대선 후보 교체 시도 △대선 후보의 단일화 입장 번복 △탄핵 국면 국민의힘 의원 40여 명의 한남동 관저 앞 시위 △당원 게시판 논란 △22대 총선 공천 원칙 무시 △비윤(비윤석열)계 당 대표 선출을 막기 위한 당헌·당규 개정 △친윤(친윤석열)계 인사들의 국정 운영 왜곡 방치 등이다.
사과를 해야 하는 대상을 대선 당시 ‘쌍권(권영세 권성동 의원)’ 지도부와 친윤계 등 구주류뿐 아니라 친한(친한동훈)계,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등 당 전반으로 넓혀 잡은 것이다. 윤 위원장은 “과거의 잘못을 인정하고 새롭게 하겠다고 말하는 분은 쇄신”이라며 “그렇지 않은 분에게는 더 강한 권고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적쇄신 최종 권한은 당 지도부에 있는 만큼 실효성이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윤 위원장은 “이미 당원소환 절차를 혁신안에 넣었다”며 “사과를 안 하고 버티면 당원들의 칼이 있다”고 말했다. 반면 이날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인적청산을 먼저 얘기하는데 일의 순서가 거꾸로 된 것 같다”며 “특정 계파를 몰아내는 식으로 접근하면 당연하게 필패할 것이다. 우리 모두 혁신의 개체이고 주체”라고 인적쇄신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내비쳤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