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석 앉은 전씨, 반탄 김문수 장동혁엔 “잘한다”
찬탄 안철수 조경태엔 “배신자”…당원들 구호 유도
두손 번쩍 들거나 허리에 손 얹고 연단 노려보기도
찬탄 후보 지지자들 전씨에 물병 투척…몸싸움까지
전한길 씨. 채널A 영상
8일 국민의힘 8·22 전당대회 첫 합동연설회가 ‘물병 투척’과 ‘배신자’ 고함, 몸싸움으로 아수라장이 됐다. 특히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반대 집회를 주도했던 전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가 등장하면서 그를 중심으로 분위기는 더 과열됐다.
전 씨는 안철수 조경태 등 찬탄(탄핵 찬성) 후보를 향해 “배신자”라고 고함쳤고, 김문수 장동혁 등 반탄(탄핵 반대) 후보들을 향해선 “잘한다”며 손뼉을 쳤다.
전 씨를 옹호하는 일부 대구경북 당원들도 “배신자”, “잘한다” 구호를 떼창하듯 외쳤다. 전대 현장에서 전 씨는 두 손을 번쩍 치켜들거나, 허리춤에 손을 얹고 연단을 노려보는 등의 행동으로 세를 과시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후 대구 엑스코에서 대구·경북 합동연설회를 개최했다.
‘윤석열 어게인’을 주장하는 전 씨는 이날 전한길뉴스 발행인, 즉 ‘기자’ 자격으로 기자석에 앉았다. 전 씨는 자신과 가까운 장동혁 후보가 연설할 땐 “아스팔트에서 전한길과 같이 싸운 사람”이라며 “속이 시원하다”고 응원했다.
반면 찬탄 진영의 조경태 후보가 연설할 땐 “지지율이 떨어진 건 윤석열이 아니라 내부에서 총질한 너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에 가라”고 소리쳤다.
전 씨는 반탄 후보가 연설할 때는 “잘한다”고 외쳤다. 반면 찬탄 후보가 연단에 오를 땐 “배신자”라고 고함쳤다. 주변의 당원들도 전 씨의 구호 유도에 환호하며 함께 외쳤다.
최고위원에 출마한 김근식 후보는 전 씨의 면전에서 “전 씨 같은 부정선거 음모론에 빠지고 계엄을 계몽령이라고 정당화하는 저런 사람들과 어떻게 같이 투쟁할 수 있겠나”라고 비판했다.
그러자 전 씨는 “김근식이 나를 비난한다”며 격분했다. 이어 당원석 앞쪽 중앙에서 주변 사람들에게 “배신자” 구호를 유도했다.
전 씨는 두 주먹을 불끈 쥐고 김 후보쪽을 바라보기도 했다. 이에 김 후보는 “선거관리 부실을 말할 수는 있지만 부정선거를 말해서는 안 된다”며 “계엄 옹호한 사람들과는 당이 확실하게 분리해야 한다”고 전 씨를 다시 한번 직격했다.
전 씨는 “배신자”라고 연호하는 당원들 사이에서 주먹을 하늘로 치켜들며 김 후보를 째려봤다. 윤 전 대통령의 ‘어퍼컷’ 세리머니를 연상시키는 포즈였다.
전 씨가 연설회 뒤 행사장을 떠날 때는 일부 당원들이 그를 둘러싸고 “전한길”을 연호하며 팬미팅을 방불케했다.
일부 당원들은 전 씨를 향해 “극우가 여길 왜 오나. 나는 20년 당원인데 당신은 한 달 짜리”라며 항의하기도 했다.
전한길 씨. 채널A 영상
당 대표 후보 연설에서도 반탄과 찬탄 진영이 대립했다.
탄핵에 반대하는 김문수 후보는 “국회의원 107명이 분열하면, 개헌 저지선이 무너진다. 이재명 독재와 싸워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역시 반탄 진영인 장동혁 후보는 “전직 대통령이 다시 구속되고, 인권 유린당하고 있지만, 절연하자고 말하고 있다”고 외쳤다. 그는 “민주당을 해산해야 할 것인지, 국민의힘을 해산해야 할 것인지 이재명 대통령에게 공개 끝장 토론을 제안한다”고도 했다.
반면 찬탄 진영 조경태 후보는 “‘윤 어게인’을 부르짖을수록 국민의힘 지지율은 뚝뚝 떨어지고 있다”, “부정선거 음모론자를 몰아내지 못하고 있고, ‘윤 어게인’을 외치는 자들을 몰아내지 못하고 있다”고 외쳤다.
안철수 후보도 “일부가 거짓 나팔수들에 빌붙어 있다. (대구·경북이) 보수의 심장이라고 말만 하지만, 어디 가서 조아리고 있나? 극단적인 선동가들 앞에서 굽신대지 않냐?”라고 비판했다.
안철수 조경태 후보 지지자들은 전 씨를 향해 물병을 던졌고 한때 장내가 소란스러워졌다.
전 씨는 조 후보 연설 때 자리에서 일어나 의자를 밟고 올라선 뒤 한 손을 번쩍 치켜들다가 행사 관계자들에게 제지당했다.
일부에서는 찬탄과 반탄 진영 간 지지자들 사이에서 작은 몸싸움도 벌어졌다. 현장에는 ‘윤석열 대통령 어게인(AGAIN) 전한길과 함께’라는 문구가 쓰인 현수막까지 등장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대구·경북을 시작으로 12일에는 부산·울산·경남, 13일 충청권·호남권, 14일 수도권·강원·제주에서 합동연설회를 연다. 또 3차례 방송 토론회를 거쳐 22일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와 최고위원 4명을 선출한다. 본 경선은 당원 투표 80%, 여론조사 20%가 반영된다.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에는 1, 2위가 24~25일 결선 투표를 치른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