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신당 이준석 대표는 12일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선임된 조국 위원장이 당내 성 비위 사건을 폭로한 강미정 전 혁신당 대변인에 대한 탈당 보류 검토 지시를 내린 데 대해 “이 회유 시도 자체가 증언자에 대한 3차 가해”라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강 전 대변인에 대한 회유 시도는 충격적”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상식적으로 탈당은 의사를 밝힌 순간 종결되는 것”이라며 “그런데 조 위원장은 (강 전 대변인의) 탈당을 보류하게 하고, 원하는 당직이 있으면 다 고려하겠다는 제안을 했다고 한다”고 했다.
이어 “성 비위 사실을 드러낸 인물을 당직으로 달래려 한 것 자체가 2차 피해를 확대하는 행위”라며 “더 나아가 그 제안을 언론에 흘려 정치적으로 활용하려 한 것은 4차 가해에 해당한다. 증언자를 회유 대상으로 삼고, 다시 정치적으로 이용하려고 든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조 위원장은 과거 자신의 저서에서 ‘82년생 김지영’을 인용한 적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구호가 아니라 실천”이라며 “그리고 84년생 강 전 대변인에게 어떻게 대하는지가 실질적으로 많은 사람들의 판단 기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조 위원장은 강 전 대변인의 복당을 희망하고 있다고 이날 혁신당은 언론공지를 통해 밝혔다. 혁신당은 “강 전 대변인의 탈당이 온라인으로 이뤄져 보류할 기회가 없었다. 조 위원장은 취임 직후 모든 규정을 활용해 이 문제에 대해 조치할 것”이라고도 설명했다.
조국혁신당 조국 비상대책위원장. (공동취재) 뉴시스이 대표는 조 위원장 선임에 대해서도 “마치 대기업 총수 일가가 각종 비리로 지탄을 받고도 특별사면으로 면죄부를 얻은 뒤 다시 경영 일선에 복귀하는 모습과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차라리 재벌 총수에게 적용되는 ‘동일인 지정’을 조 위원장에게도 적용하는 편이 낫지 않겠나”라며 “재벌 총수들이 동일인 지정을 법인에 떠넘겨 사익편취 방지 규제를 피하듯, 조 위원장 역시 당명에서 자신의 이름을 지워놓고 실질적 지배를 이어가려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재벌 총수들이 특별사면을 통해 조기 석방되고 결국 처벌의 실효성이 사라지는 것처럼 조 위원장 역시 같은 패턴을 반복한다”며 “바로 우리 사회 기득권의 민낯”이라고 비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