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韓과 추가 관세협상” 李 “제조업 부흥 함께할것”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8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李대통령-트럼프, 첫 한미정상회담… 통상-안보 전방위 논의
트럼프 “韓과 협력으로 美 조선업 부흥 기대… 한국 선박 살것”
李 “김정은도 만나고 北에 트럼프 타워 세워 골프 치게 해달라”

트럼프 집무실서 만난 한미 정상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인 오벌오피스에서 정상회담을 가졌다. 양 정상은 조선업 투자, 한반도 평화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두 정상이 회담을 시작하기 전 악수를 하고 있는 모습. 워싱턴=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트럼프 집무실서 만난 한미 정상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인 오벌오피스에서 정상회담을 가졌다. 양 정상은 조선업 투자, 한반도 평화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두 정상이 회담을 시작하기 전 악수를 하고 있는 모습. 워싱턴=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 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첫 한미 정상회담을 열었다. 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인 오벌 오피스(Oval office)에서 열린 정상회담에 이어 참모들이 배석한 채 업무 오찬을 겸한 확대 정상회담을 가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우리 양국 정상은 서로 잘 안다”며 “한국에서 추가적인 관세 협상에 대해 관심이 있다고 하는데 원한다고 다 줄 것은 아니지만 요청은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 후속 관세 협상을 재개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에서 ‘마스가(MASGA)’ 프로젝트 등 조선업 협력과 미국산 무기 구입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은 조선업에서 상당히 성공적”이라며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 때 선박을 하루 한 척씩 생산했지만 이제 쇠퇴했다”며 “한국으로부터 선박을 구입하기도 하지만 한국과의 협력으로 미국 조선업이 부흥하는 기회를 갖게 되길 바란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조선 분야뿐만 아니라 제조업 분야에서 르네상스가 이뤄지고 대한민국이 함께하길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이어 “평화를 지키는 역할을 넘어 평화를 만들어가는 ‘피스 메이킹(peace making)’ 역할이 정말 눈에 띈다”며 “가급적이면 유일하게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 평화를 만들어 김정은 국무위원장도 만나고 북한에 트럼프 타워를 세워 저도 골프를 칠 수 있게 해달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과 저는 아주 두터운 관계를 갖고 있다”며 반색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을 3시간 앞두고 소셜미디어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인가. 숙청(purge)이나 혁명(revolution)처럼 보인다”며 “이를 용납할 수 없으며 그곳에서 사업을 할 수 없다”고 했다. 한국의 정치 상황을 이유로 경제·통상 관계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국의 새 정부가 교회에 대한 매우 악랄한 압수수색(vicious raid)을 했다고 들었다. 그들은 심지어 우리 군 기지에 들어가 정보를 얻었다”며 “우리는 이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교회 압수수색은 채 상병 특검이 극동방송 이사장 김장환 목사, 이영훈 여의도순복음교회 목사 등을 압수수색한 것과 내란 특검이 ‘평양 무인기 침투’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 경기 평택 오산공군기지를 압수수색한 것을 언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회담을 앞두고 한국이 관세 협상에서 합의한 3500억 달러(약 490조 원) 규모의 대미(對美) 투자펀드에 대한 세부 계획 제출 및 직접투자 증액과 함께 쌀, 소고기 등 농축산물 시장 개방을 추가로 요구해 왔다.

이에 앞서 이 대통령은 24일 미국 워싱턴으로 향하는 공군 1호기 기내간담회에서 관세 합의에 대한 미국의 추가 요구에 “합의를 그렇게 쉽게 뒤집거나 바꾸는 건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는 게 우리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 대통령이 직접 발표했고 한국과 미국 대통령이 상호 승인해서 내용들이 정해졌는데 일방적으로 바꾸자고 하는 것을 쉽게 ‘바꾸자니까 바꾸겠습니다’ 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면서도 “최종적으로는 현실적이고도 합리적인 결론에 이르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행정부가 요구하고 있는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확대에 대해선 “우리로서는 쉽게 동의하기 어려운 문제”라면서도 “대신 주한미군의 미래형 전략화 등의 논의는 우리로서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재명#도널드 트럼프#김정은#한미 정상회담#평화 메이킹#관세 협상#조선업 협력#주한미군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