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측 요청으로 한미 2+2 통상 협의가 연기된 24일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출국 직전 취소 소식을 듣고 인천공항 2터미널을 나서고 있다. 인천=변영욱 기자 cut@donga.com
미국 워싱턴에서 25일 개최될 예정이었던 한미 재무·통상수장 간 ‘2+2 통상 협의’가 연기됐다.
기획재정부는 24일 오전 언론 공지를 통해 “미국과 예정됐던 25일 ‘2+2협상’은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으로 인해 개최하지 못하게 됐다”고 밝혔다.
미국 측 요청으로 한미 2+2 통상 협의가 연기된 24일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출국 직전 취소 소식을 듣고 인천공항 2터미널을 나서고 있다. 인천=변영욱 기자 cut@donga.com기재부는 베센트 장관의 구체적인 사정은 밝히지 않았다. 다만 “미국 측은 조속한 시일내 개최하자고 제의했고, 한미 양측은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일정을 잡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미국으로 출국할 예정이었던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오전 인천공항에서 출국 수속 절차를 밟다가 관련 소식을 접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 장관은 결국 출국을 취소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AP뉴시스앞서 우리 정부는 미국의 8월 1일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25일 ‘2+2 통상협의’를 열 예정이었다. 우리 정부에서는 구 장관과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 측에서는 베선트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하기로 했다.
미국과의 협상이 연기되면서 우리 정부는 발걸음을 재촉해야 하는 입장이 된 것으로 평가된다. 다음 달 1일 미국의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미국이 이미 주요 국가와 무역 협상을 타결했거나 임박했다는 소식이 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본은 미국과 22일(현지 시간) 무역 협상을 전격 타결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미 행정부는 앞서 일본에 책정한 25%의 상호관세율을 15%로 낮췄고,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품목별 관세도 앞서 4월부터 부과된 25%에서 절반인 12.5%로 인하했다. 이에 일본산 자동차의 관세는 기존 2.5%의 관세를 더해 총 15%가 됐다.
23일(현지 시간)에는 미국과 유럽연합(EU)간 무역 협상이 합의 직전이라는 소식도 들려왔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등은 이날 EU산 수입품에 15%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 합의에 근접했다고 보도했다.
파장이 커지자 우리 정부는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주미대사관은 이날 특파원들에게 메시지를 보내 “‘2+2’ 협의 취소는 베센트 장관의 급한 사정 때문이지 한국과의 협상 관련 다른 의미(implication)가 있다고 보긴 어렵다”며 “산업부는 (김정관) 장관, (여한구) 본부장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USTR을 만나는 일정은 차질없이 수행한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