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표결 무산 후폭풍]
상설특검 수사대상 한덕수 등 추가
4번째 金특검 대상 15개로 늘려
與 “일방 상정” 법사위 전원 불참
더불어민주당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내란죄로 수사하기 위한 상설특검과 본특검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7일 폐기된 ‘김건희 특검법’도 9일 네 번째로 다시 발의하기로 하는 등 동시다발적인 ‘특검 총공세’에 나선 모습이다. 민주당은 상설특검은 10일, 본특검과 김건희 특검법은 12일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민주당은 9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소위와 전체회의를 잇달아 열고 ‘위헌적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행위의 진상 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수사요구안(상설특검안)’을 통과시켰다. 수사 요구안은 윤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박안수 전 계엄사령관, 국무회의에 참석해 계엄 선포를 심의한 국무위원 등 기존 수사 대상에 한덕수 국무총리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를 추가했다. 여 전 방첩사령관에 대해선 ‘국회의장과 정당 대표 등 검거를 위해 국가정보원 1차장에게 위치 추적을 요청한 혐의’가, 추 원내대표에 대해선 ‘비상계엄 해제를 위한 국회 본회의가 진행되고 있음을 인지하고도 국민의힘 의원들에게 본회의장이 아닌 국민의힘 당사로 모이라는 연락을 해 방해한 혐의’ 등이 적시됐다.
민주당은 이날 ‘12·3 윤석열 내란 사태에 대한 특검법(일반특검)’과 ‘김건희 특검법’도 발의해 법사위 전체회의에 상정했다.
내란죄 특검의 수사 대상엔 △윤 대통령의 내란 지휘 의혹과 △계엄 선포 건의 의혹 △국회의원 등에 대한 불법체포 가담 의혹 등 14개가 포함됐다. 민주당 지도부 관계자는 “계엄 선포 등에 가담한 이들이 아직 다 특정되지 않아 명확한 주체를 법안에 적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특검 후보 추천에선 여야를 배제하고 법원행정처장과 대한변호사협회 회장, 한국법학교수협회장이 각 1명씩 추천한 뒤 대통령이 이 중 한 명을 임명하게 했다. 민주당 김용민 정책수석부대표는 “정부·여당의 반대 명분을 배제한 것”이라고 말했다.
네 번째로 발의된 김건희 특검법도 수사 대상을 15개로 대폭 늘렸다. 민주당은 앞서 세 번째 김건희 특검법을 추진하면서 여당의 이탈표를 유도하기 위해 수사 대상을 명태균 사태 관련 등 3개로 줄였는데, 이를 15개로 늘린 것이다. 수사 대상에는 기존 김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 국정 개입 의혹, 대통령실 관저 이전 개입 의혹, 명태균 씨를 통한 20대 대선 경선 부정선거 의혹 등에 더해 ‘명 씨가 윤 대통령과 김 여사와의 관계를 이용해 대우조선 파업·창원 국가첨단산업단지 지정 등에 불법 개입한 의혹’이 추가됐다. 특검 후보는 민주당이 1명, 비교섭단체가 1명을 추천하고 대통령이 이 중 1명을 임명하게 했다. 세 번째 특검법 때 여당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담았던 ‘제3자 추천’ 방식도 없앤 것이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김건희 특검법에 대한 거부권 행사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 관계자는 “정부 여당 말대로 윤 대통령의 직무가 정말 정지된 것이라면 대통령이 특검에 대해서도 거부권을 행사할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 與 “일방 상정” 법사위 불참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일방적으로 특검법을 상정했다”고 반발했다. 오전 법사위 소위엔 국민의힘 소속 위원 3명 중 유상범, 주진우 의원 등 2명만 참석해 반대표를 던졌고 장동혁 의원은 참석하지 않았다. 오후 전체회의엔 여당 법사위원 7명 전원이 불참했다.
법사위 여당 간사인 유 의원은 소위 직후 “추 원내대표가 비상계엄 과정에서 어떠한 관여도 하지 않았다는 게 드러나고 있다”며 “상설특검 대상에 포함한 데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했다. 또 “(민주당이) 당일 아침에 (일반 특검법을) 발의하고 숙려기간이라는 것을 논의할 가치도 없을 정도로 짧은 시간에 법안을 법사위에 상정했다”며 절차적 문제를 지적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