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4% “개헌 필요하다”…“필요 없다” 30% [갤럽]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3월 7일 13시 42분


코멘트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대통령 탄핵심판 최종(11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최종의견을 진술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2025.2.25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대통령 탄핵심판 최종(11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최종의견을 진술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2025.2.25
절반 이상의 국민이 현행 대통령제에 대한 개헌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7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 4~6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3명을 대상으로 현행 대통령제를 바꾸는 개헌이 필요한지 물은 결과 ‘필요하다’는 응답이 54%로 과반이었다.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30%였고 16%는 의견을 유보했다.

국민의힘 지지층 가운데 개헌에 공감하는 응답은 53%,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가운데 개헌에 공감하는 응답은 58%였다.

개헌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각각 34%, 28%로 대통령제 개헌 필요성에는 여야 지지층 간 견해차가 두드러지지 않았다.

대통령 임기에 대해서는 ‘4년 중임제’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유권자의 64%, 현행 ‘5년 단임제’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31%였다. 5%는 의견을 유보했다.

4년 중임제 선호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70%)과 국민의힘 지지층(67%)에서 비슷하고 정치적 성향별(보수 69%·중도 65%·진보 70%)로도 별 차이가 없었다.

다만 무당층에서는 4년 중임제와 5년 단임제가 각각 40%대 중반으로 갈렸다.

대통령 권한과 관련해서는 ‘현행 수준 유지’ 43%, ‘현행보다 축소’ 35%, ‘현행보다 확대’ 14%로 나타났다. 8%는 의견을 유보했다.

대통령 권한을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은 국민의힘 지지층(27%)과 보수층(23%)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었다.

대통령제 개헌이 필요하다는 응답자와 4년 중임제를 선호하는 응답자 중에서는 현행 수준 권한 유지가 40% 내외를 차지했으며 권한 축소도 40%대로 조사됐다.

윤 대통령 탄핵에 대한 찬반 의견은 찬성 60%, 반대 35%로 집계됐다. 모름·응답거절 등 의견을 유보한 응답은 5%였다. 한 주 전 조사보다 찬성은 1%p 올랐고, 반대는 동일했다.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 조사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5%로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10%,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6%, 홍준표 대구시장 5%, 오세훈 서울시장 4% 등이었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과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는 각각 1%를 기록했다. ‘기타 인물’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4%였고, 응답을 유보한 비율은 34%였다.

차기 대선 결과에 대한 기대를 묻는 질문에 ‘현 정권 유지를 위해 여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은 37%, ‘현 정권 교체를 위해 야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은 52%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한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무작위 추출해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14.2%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조하면 된다.
#대통령제#개헌#탄핵#대선#권한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