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정치
권익위 “빈집 민원, 2년새 1.7배 껑충…연평균 증가율 29.2%”
뉴스1
업데이트
2025-05-13 09:43
2025년 5월 13일 09시 43분
입력
2025-05-13 09:43
2025년 5월 13일 09시 43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코멘트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빈집, 주거환경 악화로 이어지는 사회적 문제로 확대”
(권익위 제공)
오랜 기간 방치된 빈집이 붕괴나 화재 위험에 노출된 것은 물론이고 위생이나 주거환경을 훼손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최근 3년간(2022년~2024년) 민원정보분석시스템에 수집된 빈집 관련 민원 2399건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공개했다.
2022년 598건이던 빈집 관련 민원은 2024년 989건으로 약 1.7배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29.2%였다.
빈집 관련 민원은 경기(437건), 부산(239건), 서울(175건) 등 도심 지역에서 다수 발생했다. 통상 빈집 수가 많은 것으로 알려진 지방보다 인구 밀집 지역에서 생활 불편 체감도가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빈집 관련 민원 유형은 철거 및 정비 요청 민원(77.8%)이 가장 많았으며, 정책 문의 및 제안(19.7%), 기타 불편 사항(2.5%) 순이었다.
철거 및 정비 요청 민원을 제기한 주요 사유는 붕괴, 화재 등 안전사고 우려(50.1%, 935건), 석면 지붕, 쓰레기 방치 등 위생상 유해 문제(33.6%, 627건), 주거환경 및 도시미관 훼손(11.4%, 213건), 범죄발생 우려(4.9%, 92건) 등이었다.
권익위는 “지방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 도시 내 주택 노후화가 맞물리며 빈집은 단순한 주거 문제가 아닌, 주거환경 악화와 지역 활력 저하로 이어지는 사회적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권익위는 이번 민원 분석 결과를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등 관계기관에 제공해 향후 구체적인 빈집 정책추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유철환 권익위 위원장은 “빈집은 생활밀착형 제도개선이 필요한 문제로, 민원에 나타난 현장의 목소리가 향후 관계기관의 정책에 반영되어 국민 삶의 질 개선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서울=뉴스1)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오늘과 내일/우경임]서울대 10개 ‘표절’로 만들어질까
“확 망해 뿌렸으면 좋겠심더” 국힘, TK서도 민주에 7%P 밀려
정규재 “李대통령, 시진핑 APEC 올 것이라고 해…트럼프는 아직”
창 닫기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