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사진)가 13일 “총리실부터 시작해 공직자들이 매주 최소한 1회 이상 주변 상권에서 점심 먹는 운동을 하면 어떨까 한다”고 제안했다.
김 후보자는 이날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밥상 물가 안정 경청 간담회’를 주재하며 식품 물가 관련 대책을 논의하면서 “민간식당 소비는 어떻게 활성화할 거냐는 문제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구내식당도 각 기업과 공공기관이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소상공인 자영업자로서 어렵게 식당을 운영하고 계신 모든 분이 윈윈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으면 좋겠다”며 이렇게 말했다.
김 후보자는 “여당 시절 김대중 대통령을 모시고 ‘IMF 비상대책위원회’ 대변인을 했던 경험이 있다”며 “그때 ‘대학생 천원의 아침밥’과 ‘경로당 주5일 점심’(정책)을 입안한 경험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직장인 든든한 점심’까지 일종의 3대 세트로 발전할 수 있는 것 아닌가 생각해 봤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간담회에서 “생활 물가 문제는 여야도 없고 대선의 승패도 없고 보수 진보가 없는 문제”라며 “바로 여야가 협력해 머리를 맞대고 풀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배달 중개 수수료 문제에 대해선 “윤석열 정부의 자율규제는 실패했다”고 비판한 뒤 “이미 배달 중개 수수료에 대한 적정선을 어떻게 할 것인지 입법을 포함한 고민이 시작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 정부도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의회에서 조금 더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 주면 어떨까 한다”고 당부했다.
총리실 관계자는 “김 후보자가 간담회 마무리에서 ‘민생 안정을 위한 경청 간담회는 이번 정부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며 앞으로도 이런 간담회를 계속하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김 후보자는 간담회 후 식품·외식업계 및 전문가 등 10여 명의 참석자들과 광화문 인근 식당에서 함께 식사하며 주변 상권 의견을 청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