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美와 통상협상 마치고 귀국
“결과 좋다기보다 최악 상황 막은 게 큰 의미
앞으로가 문제…수익구조 논의 더 필요한 상황
백악관이 브리핑한 쌀 개방, 전혀 논의 안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에서 한미 관세협상 관련 취재진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5.8.1/뉴스1
미국과 통상협상을 마치고 귀국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미국 백악관이 한국이 쌀 시장을 개방하기로 했다고 밝힌 것에 대해 “쌀은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 미국에서 발표한 사안에 대해서는 어떤 의미인지 확인해봐야겠지만 추가적인 개방에 대해서는 논의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한미 관세협상을 마치고 1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귀국했다.
이날 구 부총리는 “한미 관세 협상 관련 지난 1주일이 전쟁과 같은 협상 과정이었다. 하지만 대통령실 중심으로 관계 부처가 수시로 소통하고 전략 잘 수립해서 대응할 수 있었다. 워싱턴 현장대응팀에서도 협상 과정에서 미국 측 반응을 신속히 파악하고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총력 대응했다고 생각한다. 특별히 국내에서 국민들이 성원해주고 기도해줘서 타결된 몇 개 나라 중에 우리 협상 결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좋은 결과가 있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한미 관세 협상을 마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1일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 2025.08.01. [인천공항=뉴시스]그는 “앞으로가 문제다. 사람들이 얘기하지 않나.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고. 이번에 마련한 협상안을 가지고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미국과의 세부 협상 과정에서 우리가 소극적, 수동적이기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응하려 한다. 3500억 달러 중 1500억 달러는 조선업 분야에 전략적으로 미국과 투자를 하도록 돼 있는데, 국내에서 당장 어떻게 전략적으로 접근할 것인지 챙기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저희가 세부적인 계획 잘 세워서 협력한다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전략을 수립한다면 오히려 한국 경제에도 미국과의 전략적인 얼라이언스 통해서 한국 경제가 다시 세계 1등으로 갈 수 있는 좋은 찬스다. 악마는 디테일에 있지만 천사도 디테일에 있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한미 양국 간 상호 윈-윈 할 수 있는 상호 호혜적인 그런 경제 협력으로까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쌀 시장 개방하는 걸로 브리핑을 진행한 것에 대해선 “쌀은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 미국에서 발표한 사안에 대해서는 어떤 의미인지 확인해봐야겠지만 추가적인 개방에 대해서는 논의한 사실이 없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러트닉 상무장관이 수익의 90%를 미국이 보유한다고 한 것에 대해 “수익 구조 관련해서는 아직 좀 더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9:1이 어떤 의미를 가진 지는 현재 우리가 이해하기로는 미국에 재투자하는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펀드 운영하는 과정에서 구체화할 것”이라고 답했다.
철강 관세 50%, 자동차도 사실상 2.5% 손해라는 지적과 지원책에 대한 질문에 김 장관은 “관세 협상은 결과가 좋다는 의미보다는 최악의 상황을 막았다. 협상 타결 안 됐을 경우 가져올 후폭풍을 생각하면 그걸 막은 것”이라며 “또 하나는 우리 기업이 부딪힌 불확실성을 막았다. 거기에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자동차 관세 12.5%는 마지막까지 노력했지만 미국 측이 15%를 글로벌 전체적으로 일종의 마지노선으로 생각 중이다. 아쉽게 생각한다. 2.5%에 대해서는 우리 협력 기업들의 원가 절감이라든지 경쟁력 향상이라든지 그런 부분 지속적으로 제고해서 2.5% 격차 극복하고 미국에서 충분히 경쟁할 수 있도록 지원 계속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협상 마무리에 대해 “국민들이나 기업이 걱정하는 부분 때문에 잠을 못잘 정도였다. 중간 협상 과정에서도 피가 말린다는 말이 무슨 말인지 실감했다. 러트닉 상무장관과 얘기하다가 자기한테 불리한 말만 하면 관세 그냥 25%로 가자고 하고 의자에서 일어나려고 하면 우리가 잡고 하는 과정이 있었다. 대통령님, 기업들, 국민들이 성원해줘서 이 정도까지 왔다고 생각한다”는 소회를 밝혔다.
그러면서 “더 중요한 것은 앞으로다. 기업이나 경제가 직면한 여러 불확실성을 생각할 때 우리 기업들, 우리 경제의 경쟁력이 훨씬 더 강해져야 되겠구나, 지금 정도의 경쟁력 가지고는 안 되겠구나. 조선에서 느낀 것은 조선이란 산업이 미국에서 도움이 될 만한 산업이니까 좋은 협력 체계를 만들었는데 우리 산업과 기업이 경쟁력 강화시키고 더 커서 이런 일이 다시는 없도록 열심히 해보겠다”고 덧붙였다.
여 본부장은 “새 정부 들어와서 우리는 다른 나라에 비해 시간이 굉장히 부족했다. 협상 과정에서 어려움 있었지만 원팀으로 정부 전체가 대통령실 중심으로 해서 위기를 잘 넘겼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협상 하면서 느낄 수 있었던 것은 미국 통상 환경이 근본적으로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1기 때와도 다른 새로운 뉴노멀의 시대가 오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번에 위기를 잘 넘겼지만 앞으로는 언제 관세나 비관세 압박 들어올지 안심 못하는 상황이라고 생각한다. 이번을 계기로 나름대로 잘 정비하고 국내에서 제도적으로 정비할 부분 있으면 하는 식으로 해서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댓글 0